黃
누를 황
“璜”(패옥 황)의 본래자로, 갑골문의 자형은 사람(大)이 허리에 둥근 옥(玉)을 차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패옥(佩玉)“이란 뜻을 나타낸다. 그 패옥의 색깔이 “노랗다”는 데서 “黃”이 “노란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차되자 원래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따로 “璜”자를 만들었다.
“설문”에서는, “田”+“苂”(음)으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며, “田”은 흙을 의미하고, 흙의 색깔이 노랗다는 데서 “노란색”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黃”이 뜻을 나타내는 부수자로 쓰이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소리부호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들고 있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