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e.k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어학:한자:고사성어 [2024/12/05 11:25]
clayeryan@gmail.com [호가호위(狐假虎威)]
어학:한자:고사성어 [2024/12/09 11:33] (현재)
clayeryan@gmail.com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줄 4: 줄 4:
  
 <color #00a2e8>같이 보기 좋은 네이버 연재 :</color>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0801&categoryId=59893&so=st4.asc|공부왕이 즐겨 찾는 고사성어 탐구 백과]] <color #00a2e8>같이 보기 좋은 네이버 연재 :</color>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0801&categoryId=59893&so=st4.asc|공부왕이 즐겨 찾는 고사성어 탐구 백과]]
-=====온고지신(溫故知新)=====+ 
 +|[[어학:한자:고사성어|고사성어 유래]]|[[어학:한자:한자성어_사전|고사성어 사전]]| 
 +=====溫故知新(온고지신)=====
  
 ^溫|익힐 온^故|옛 고^知|알 지^新|새 신| ^溫|익힐 온^故|옛 고^知|알 지^新|새 신|
줄 23: 줄 25:
  
  
-===== 후안무치(厚顔無恥) =====+===== 厚顔無恥(후안무치) =====
  
 <hi #efe4B0>두꺼운 얼굴에 부끄럼은 없다</hi> <hi #efe4B0>두꺼운 얼굴에 부끄럼은 없다</hi>
줄 44: 줄 46:
  
    
-=====   난신적자(亂臣賊子) =====+=====   亂臣賊子(난신적자) =====
  
 <hi #efe4B0>무자식이 상팔자</hi> <hi #efe4B0>무자식이 상팔자</hi>
줄 56: 줄 58:
 우리 역사에서도 많은  亂臣賊子 들이 탄생과 함께 이슬로 사라져 갔지만, 여전히 기억속에 살아있는  난신(亂臣) 의 탄생은 불과 18년전인 1979년  10월 26월에 있었다. 하지만 한 시기에  亂臣 과  賊子 의 출현을 모두 보게 될지도 모른다는 예감에 마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우리 역사에서도 많은  亂臣賊子 들이 탄생과 함께 이슬로 사라져 갔지만, 여전히 기억속에 살아있는  난신(亂臣) 의 탄생은 불과 18년전인 1979년  10월 26월에 있었다. 하지만 한 시기에  亂臣 과  賊子 의 출현을 모두 보게 될지도 모른다는 예감에 마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 신출귀몰(神出鬼沒) =====+===== 神出鬼沒(신출귀몰) =====
  
 <hi #efe4B0>동에 번쩍, 서에 캄캄</hi> <hi #efe4B0>동에 번쩍, 서에 캄캄</hi>
줄 69: 줄 71:
  
  
-=====  정중지와(井中之蛙)  =====+=====  井中之蛙(정중지와)  =====
  
 <hi #efe4B0>개구리는 짠물에서 못 산다</hi> <hi #efe4B0>개구리는 짠물에서 못 산다</hi>
줄 83: 줄 85:
 얼마전 까지만해도  Globalization 인지  세계화 인지를 외치며  우물 안의 개구리 소탕을 선도했던 사람을 요즘 들어선 보기 어렵다. 뜬금없이 우물 밖으로 나가라 하니, 영어 과외가 급증하지 않고 국제 공항이 붐비지 않고서야, 달리 무슨 방법이 있겠는가. 얼마전 까지만해도  Globalization 인지  세계화 인지를 외치며  우물 안의 개구리 소탕을 선도했던 사람을 요즘 들어선 보기 어렵다. 뜬금없이 우물 밖으로 나가라 하니, 영어 과외가 급증하지 않고 국제 공항이 붐비지 않고서야, 달리 무슨 방법이 있겠는가.
      
-=====   조장(助長) =====+=====   助長(조장) =====
      
 <hi #efe4B0>스스로 하도록 도와주는 것</hi> <hi #efe4B0>스스로 하도록 도와주는 것</hi>
줄 96: 줄 98:
    
  
-=====   도룡지기(屠龍之技) =====+=====   屠龍之技(도룡지기) =====
  
 <hi #efe4B0>용의 눈물, 여기에서 그치다</hi> <hi #efe4B0>용의 눈물, 여기에서 그치다</hi>
줄 110: 줄 112:
 九龍 이다  二龍 이다 해서 먼저 승천(昇天)하려고 다투는 용들이 유독 많은 것도 요즈음 들어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그들은 모두 승천하는 기술과 용 잡는 기술을 연마하는데 온 정신을 쏟고 있다. 주팽만의  屠龍之技 가 진가를 발휘하여, 용의 눈물이 그칠 때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九龍 이다  二龍 이다 해서 먼저 승천(昇天)하려고 다투는 용들이 유독 많은 것도 요즈음 들어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그들은 모두 승천하는 기술과 용 잡는 기술을 연마하는데 온 정신을 쏟고 있다. 주팽만의  屠龍之技 가 진가를 발휘하여, 용의 눈물이 그칠 때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   호가호위(狐假虎威) =====+=====   狐假虎威(호가호위) =====
      
 <hi #efe4B0>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hi> <hi #efe4B0>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hi>
줄 125: 줄 127:
 =====   烏鳥私情(오조사정) ===== =====   烏鳥私情(오조사정) =====
      
-<hi #fff200>할머니를 모시는 손자의 효심</hi>+<hi #efe4B0>할머니를 모시는 손자의 효심</hi>
          
 烏(까마귀 오) 鳥(새 조) 私(사사 사) 情(뜻 정) 烏(까마귀 오) 鳥(새 조) 私(사사 사) 情(뜻 정)
줄 150: 줄 152:
 =====   鼓腹擊壤(고복격양) ===== =====   鼓腹擊壤(고복격양) =====
  
-<hi #fff200>배 두드리며 골프는 치지만</hi>+<hi #efe4B0>배 두드리며 골프는 치지만</hi>
    
  鼓(두드릴 고) 腹(배 복) 擊(부딪칠 격) 壤(흙 양)  鼓(두드릴 고) 腹(배 복) 擊(부딪칠 격) 壤(흙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