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http://www.zonmal.com/hanja_sen.asp → 이곳을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峨 【아】
산이 높다; 산 이름
형성자 : 山(뫼산) + 我(나아)
획수 : 7획 (총10획)
응용 : 峨冠(아관) 높은 冠. 冠을 높게 씀. 峨眉(아미) 산 이름. 峨嵋라고도 함. 山東省 博山縣에 있으며 金이 난다 함. 峨峨(아아) ① 산이 높고 험악한 모양. ② 儀容이 嚴肅하고 威嚴이 있는 모양.
眉 【미】
눈썹; 가장자리 상형자 : 사람의 눈썹을 본뜬 글자. 획수 : 4획 (총9획)
eye-brow
ミ·ビ·まゆげ·まゆ
méi
眉間(미간) 양미간. 두 눈썹 사이. 眉間珠(미간주) 불상의 미간에 있는 흰 구슬. 眉稜骨(미릉골) 눈썹 있는 곳의 뼈.
山 【산】
뫼; 산 연달아 있는 세 개의 산봉우리의 모양을 본뜬 글자. 0획 (총3획)
mountain
サン·やま
shān
山間(산간) 산골. 산과 산 사이. 山居(산거) 산중에 삶. 山谷(산곡) 산골짜기.
月 【월】
달; 한달; 세월; 다달이; 이지러지다 초승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 0획 (총4획)
moon; month
ゲツ·つき
yuè
月刊(월간) 매달 한 차례씩 인쇄물을 발행함. 月給(월급) 봉급 중에서 다달이 받는 급료. 月賦(월부) 값, 또는 빚을 다달이 나누어 갚아 가는 일.
歌 【가】
노래; 읊조리다; 장단 맞추다
형성자 : 哥(형가) + 欠(하품할흠)
10획 (총14획)
song
カ·うた·うたう
gē
歌曲(가곡) ① 노래. ② 우리 나라 재래 음악의 한 가지 歌舞(가무) 노래와 춤 歌詞(가사) 가곡, 가요, 오페라 따위로 불릴 것을 전제로 하여 쓰인 글.
각주
1. 平羌江(평강강) : 지금의 청의강(靑衣江)
사천성四川省 노산현蘆山縣에서 발원하여 민강岷江으로 흘러드는 강. 아미산의 동북쪽으로 흐른다.
2. 청계淸溪 사천성 건위현犍爲縣에 있던 청계역淸溪驛을 가리킨다.
* 삼협三峽 파동巴東에 있는 세 개의 큰 협곡으로서, 기주夔州부터 귀(貴州에 이르는 육 칠 백 리 장강長江에 있는 수많은 협곡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이른바 장강삼협長江三峽이라고 불리 우는, 구당협瞿塘峽, 무협巫峽, 서릉협西陵峽이다.
3. 군君 2인칭 대명사로서 보통 아미산에 사는 이백의 친구를 지칭한 것으로 본다.
심덕잠沈德潛은 《당시별재집唐詩別裁集》에서 “아미산의 달”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는데, 운치 있는 해석이다. 그럴 경우 “그대 보고파도 못 보겠지, 유주로 내려가고 나면” 정도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주渝州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
주周나라 때 파자국巴子國이 있었으며, 진한대秦漢代에는 파군巴郡이 있던 곳.
해제
아미산峨眉山은 사천성 아미현蛾眉縣 서남쪽에 있는 산.
악부 〈촉도난〉, 가음 〈분도산수가〉, 〈상황서순남경가 7〉, 〈아미산월가2(峨眉山月歌送蜀僧晏入中京)〉 등 참조.
해설
이 시는《李太白集》8권에 실려 있는 바, 이백이 사면을 받아 夜郞에서 돌아가는 도중에 지은 것인 듯하다.
불과 스물여덟 글자 안에 아미산, 평강강, 청계, 삼협, 유주에 이르는 긴 여정을 응축시키면서도, 그 연결이 매끄럽고 기상 또한 뛰어나 만고의 절창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등장하는 지명을 미루어볼 때, 이백이 개원開元 12년 (724) 아미산의 평강강에서 유주를 거쳐 삼협을 건너, 장강을 따라 고향을 떠났을 때의 작품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원문 : http://m.blog.daum.net/bobae5656/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