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문학:한문학:당시선집:이백: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 [2020/09/18 15:30] clayeryan@gmail.com |
문학:한문학:당시선집:이백: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 [2024/04/05 10:36] (현재) clayeryan@gmail.com |
||
---|---|---|---|
줄 6: | 줄 6: | ||
같이 볼만한 문서< | 같이 볼만한 문서< | ||
- |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 + | |
+ | ^ 峨山月歌 ^ 아미산월가 | | ||
+ | | 峨眉山月半輪秋 | 아미산월반륜추 | | ||
+ | | 影入平羌江水流 | 영입평강강수류 | | ||
+ | | 夜發淸溪向三峽 | 야발청계향삼협 | | ||
+ | | 思君不見下渝州 | 사군불견하유주 | | ||
<fs xx-large> | <fs xx-large> | ||
줄 14: | 줄 19: | ||
획수 : 7획 (총10획) | 획수 : 7획 (총10획) | ||
- | :eng: high : | + | [[en>high|high]] |
응용 : | 응용 : | ||
줄 28: | 줄 33: | ||
획수 : 4획 (총9획) | 획수 : 4획 (총9획) | ||
- | :eng: eye-brow | + | [[en> |
眉間(미간) 양미간. 두 눈썹 사이. | 眉間(미간) 양미간. 두 눈썹 사이. | ||
줄 85: | 줄 90: | ||
<fs xx-large> | <fs xx-large> | ||
- | 그림자(物之陰形); 형상(形); 말 이름(馬名) | + | 그림자; 형상; 말 이름 |
- | 景(볕경) + (터럭그릴삼) | + | '' |
- | 12획 (총15획) | + | 12획 (총15획) |
- | 影寫(영사) 그림이나 글씨를 밑에 받쳐 놓고 그것을 본떠서 덧 그림. | + | 影寫(영사) 그림이나 글씨를 밑에 받쳐 놓고 그것을 본떠서 덧 그림. |
- | 影像(영상) ① 족자에 그린 화상. ②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의 작용으로 나타난 물상. | + | 影像(영상) ① 족자에 그린 화상. ② 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의 작용으로 나타난 물상. |
- | 影幀(영정) 화상을 그린 족자. | + | 影幀(영정) 화상을 그린 족자. |
- | [더 많은 관련 한자어 보기....] | + | |
+ | <fs xx-large> | ||
- | <fs xx-large> | + | 뜻 : 들다; 들어가다; |
- | 【입】들다(出之對); 들어가다; | + | |
- | 새끼를 꼴 때 나중에 댄 짚이 딸려 들어가는 모양. | + | |
- | 0획 (총2획) | + | |
+ | 새끼를 꼴 때 나중에 댄 짚이 딸려 들어가는 모양. enter ニュウ·いる | ||
- | 入庫(입고) 물건을 창고에 집어 넣음. | ||
- | 入棺(입관) 시체를 관 속에 넣음. | ||
- | 入敎(입교) 종교를 믿기 시작함. | ||
- | [더 많은 관련 한자어 보기....] | ||
+ | 入庫(입고) 물건을 창고에 집어 넣음. | ||
+ | 入棺(입관) 시체를 관 속에 넣음. | ||
+ | 入敎(입교) 종교를 믿기 시작함. | ||
- | <fs xx-large> | + | <fs xx-large> |
- | 【평】평탄하다(坦); | + | |
- | 【편】편편하다(辨治) | + | 평탄하다(坦); |
+ | 편편하다(辨治) | ||
물에 떠 있는 부평초의 모양을 본뜬 글자. | 물에 떠 있는 부평초의 모양을 본뜬 글자. | ||
- | 2획 (총5획) | + | flat; even ヘイ·ヒョウ·たいらか |
- | 平價(평가) 표준이 되는 값. 공평한 가격. 일반의 가격. | + | |
- | 平康(평강) 평안함. | + | 平康(평강) 평안함. |
- | 平均(평균) 고름. 고르게 함. | + | 平均(평균) 고름. 고르게 함. |
- | [더 많은 관련 한자어 보기....] | + | |
+ | <fs xx-large> | ||
- | <fs xx-large> | + | 오랑캐(西戎牧羊人); |
- | 【강】오랑캐(西戎牧羊人); | + | |
羊(양양) + 儿(어진사람인) | 羊(양양) + 儿(어진사람인) | ||
- | 2획 (총8획) | + | 2획 (총8획) |
- | 羌管(강관) 피리의 別稱. | + | 羌管(강관) 피리의 別稱. |
- | 羌桃(강도) 胡桃의 異名. | + | 羌桃(강도) 胡桃의 異名. |
- | 羌蠻(강만) 서쪽 蠻族의 이름. | + | 羌蠻(강만) 서쪽 蠻族의 이름. |
- | [더 많은 관련 한자어 보기....] | + | |
- | <fs xx-large> | + | |
- | 【강】강(川之大者); | + | <fs xx-large> |
+ | 강(川之大者); | ||
水(물수) + 工(장인공) | 水(물수) + 工(장인공) | ||
- | 3획 (총6획) | + | |
줄 145: | 줄 147: | ||
- | <fs xx-large> | + | <fs xx-large> |
- | 【수】물(地之血氣); | + | |
+ | 물(地之血氣); | ||
물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물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 ||
0획 (총4획) | 0획 (총4획) | ||
줄 158: | 줄 161: | ||
- | <fs xx-large> | + | <fs xx-large> |
- | 【류】흐르다(水行); | + | |
+ | 흐르다(水行); | ||
水(물수) + (아이돌아나올돌) + (신에창받을장) | 水(물수) + (아이돌아나올돌) + (신에창받을장) | ||
- | 7획 (총10획) | + | flow リュウ·ル·ながれる |
- | 流丐(유개) 거지. | + | |
- | 流産(유산) ①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옴. ② 습기획 또는 추진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 流産(유산) ①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옴. ② 습기획 또는 추진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 流竄(유찬) 멀리 귀양을 보냄. | + | 流竄(유찬) 멀리 귀양을 보냄. |
==== 각주와 해제 ==== | ==== 각주와 해제 ==== | ||
줄 201: | 줄 205: | ||
이 시는《李太白集》8권에 실려 있는 바, 이백이 사면을 받아 夜郞에서 돌아가는 도중에 지은 것인 듯하다. | 이 시는《李太白集》8권에 실려 있는 바, 이백이 사면을 받아 夜郞에서 돌아가는 도중에 지은 것인 듯하다. | ||
불과 스물여덟 글자 안에 아미산, 평강강, 청계, 삼협, 유주에 이르는 긴 여정을 응축시키면서도, | 불과 스물여덟 글자 안에 아미산, 평강강, 청계, 삼협, 유주에 이르는 긴 여정을 응축시키면서도, | ||
- | |||
- | 원문 : http://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