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e.k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문학:한문학:당시선집 [2020/10/08 16:43]
clayeryan@gmail.com [장경충 張敬忠 (?-?)]
문학:한문학:당시선집 [2021/04/21 11:37]
clayeryan@gmail.com [서문 序文]
줄 16: 줄 16:
  
 참고할만한 링크 - 참고할만한 링크 -
- [[https://blog.naver.com/swings81|swing81님의 블로그]] 漢詩의 방대한 블로그+:nblog: [[https://blog.naver.com/swings81|swing81님의 블로그]] 漢詩의 방대한 블로그
    
  
줄 1059: 줄 1059:
 | 渭城朝雨浥輕塵 | 위성조우읍경진 | | 渭城朝雨浥輕塵 | 위성조우읍경진 |
 | 客舍靑靑柳色新 | 객사청청류색신 | | 客舍靑靑柳色新 | 객사청청류색신 |
-| 勸君更盡一酒 | 권군갱진일배주 |+| 勸君更盡一酒 | 권군갱진일배주 |
 | 西出陽關無故人 | 서출양관무고인 | | 西出陽關無故人 | 서출양관무고인 |
  
줄 3272: 줄 3272:
 ====정곡 鄭谷 (?-?)==== ====정곡 鄭谷 (?-?)====
  
-經賈島墓 ^ 경가도묘 +^經賈島墓 ^ 경가도묘 | 
-水繞荒墳縣路斜 | 수요황분현로사 +|水繞荒墳縣路斜 | 수요황분현로사 | 
-耕人訝我久咨嗟 | 경인아아구자차 +|耕人訝我久咨嗟 | 경인아아구자차 | 
-重來兼恐無尋處 | 중래겸공무심처 +|重來兼恐無尋處 | 중래겸공무심처 | 
-落日風吹鼓子花 | 낙일풍취고자화+|落日風吹鼓子花 | 낙일풍취고자화 |
  
 ++++해석|<poem> ++++해석|<poem>
줄 3941: 줄 3941:
  
 ====저광희 儲光羲 (?-?)==== ====저광희 儲光羲 (?-?)====
-<poem> + 
-江南曲 +^ 江南曲 ^ 강남곡 ^ 
-日暮長江裏  相邀歸渡頭 +| [一] | | 
-落花如有意  來去逐船流 +| 綠江深見底 | 녹강심견저 | 
-</poem>+| 高浪直翻空 | 고랑직번공 | 
 +| 慣是湖邊住 | 관시호변주 | 
 +| 舟輕不畏風 | 주경불외풍 | 
 +| [二] | | 
 +| 逐流牽荇葉 | 축류견행엽 | 
 +| 緣岸摘蘆苗 | 연안적로묘 | 
 +| 爲惜鴛鴦鳥 | 위석원앙조 | 
 +| 輕輕動畫橈 | 경경동화뇨 | 
 +| [三] | | 
 +| 日暮長江裏 | 일모장강리 | 
 +| 相邀歸渡頭 | 상요귀도두 | 
 +| 落花如有意 | 낙화여유의 | 
 +| 來去逐船流 | 내거축선류 | 
 +| [四] | | 
 +| 隔江看樹色 | 격강간수색 | 
 +| 沿月聽歌聲 | 연월청가성 | 
 +| 不是長干住 | 부시장간주 | 
 +| 那從此路行 | 나종차로행 | 
 ++++해석|<poem> ++++해석|<poem>
 강남곡 강남곡
-해는 저어 강 에 물어 + 
-데불고 는 이 부두에 +푸른 강은 깊은데도 바닥 보이고 
-지는 꽃잎도 뜻은 있는 +높은 물결은 곧게 공중에 솟구치네. 
-거니 거니 는 물을 따라서......+호숫가에 사는 것이 습관이 되어 
 +가벼운 배이지만 바람 두렵지 않네. 
 + 
 +흐르는 결 쫓아 연잎 끌당기고 
 +강기슭에 배대고 갈대 싹을 따네. 
 +원앙새처럼 서로 껴주며 
 +가볍게 가볍게 화려한 노를 젓네. 
 + 
 +해 저무는 장강(長江)가 
 +서로 만나 나루로 돌아간다. 
 +떨어지는 꽃잎도 마음이 있는  
 +며 며 를 따라 흐르네. 
 + 
 +강 건너 나무 빛깔을 바라보고 
 +달을 따르며 노래 소리를 듣네. 
 +장간(長干)에 살지 않는데 
 +어찌 이 길 따라 가시나요.
 </poem>++++ </poem>++++
  
 ====최호 崔顥 (?-?)==== ====최호 崔顥 (?-?)====
-<poem> + 
-黃鶴樓 +^ 黃鶴樓 ^ 황학루 ^ 
-昔人已乘黃鶴去  此地空餘黃鶴樓 +| 昔人已乘黃鶴去 | 석인이승황학거 | 
-黃鶴一去不復返  白雲千載空悠悠 +| 此地空餘黃鶴樓 | 차지공여황학루 | 
-晴川歷歷漢陽樹  芳草萋萋鸚鵡州 +| 黃鶴一去不復返 | 황학일거불부반 | 
-日暮鄕關何處是  煙波江下使人愁 +| 白雲千載空悠悠 | 백운천재공유유 | 
-</poem>+| 晴川歷歷漢陽樹 | 청천력력한양수 | 
 +| 芳草萋萋鸚鵡州 | 방초처처앵무주 | 
 +| 日暮鄕關何處是 | 일모향관하처시 | 
 +| 煙波江下使人愁 | 연파강상사인수 | 
 ++++해석|<poem> ++++해석|<poem>
 수 (愁) 수 (愁)
줄 3975: 줄 4013:
  
 ====장호 張祜 (?-?)==== ====장호 張祜 (?-?)====
-<poem> + 
-胡渭州 +^ 胡渭州 ^ 호위주 ^ 
-亭亭孤月照行舟  寂寂長江萬里流 +| 亭亭孤月照行舟 | 정정고월조행주 | 
-鄕國不知何處是  雲山漫漫使人愁 +| 寂寂長江萬里流 | 적적장강만리류 | 
-</poem>+| 鄕國不知何處是 | 향국부지하처시 | 
 +| 雲山漫漫使人愁 | 운산만만사인수 | 
 ++++해석|<poem> ++++해석|<poem>
 산만만(山漫漫) 산만만(山漫漫)
줄 3989: 줄 4029:
  
 ====설영 薛瑩 (?-?)==== ====설영 薛瑩 (?-?)====
-<poem> + 
-秋日湖上 +^ 秋日湖上 ^ 추일호상 ^ 
-落日五湖遊  煙波處處愁 +| 落日五湖遊 | 낙일오호유 | 
-浮沈千古事  誰與問東流 +| 煙波處處愁 | 연파처처수 | 
-</poem>+| 浮沈千古事 | 부침천고사 | 
 +| 誰與問東流 | 수여문동류 | 
 ++++해석|<poem> ++++해석|<poem>
 가을날 가을날
줄 4003: 줄 4045:
  
 ====여온 呂溫 (?-?)==== ====여온 呂溫 (?-?)====
-<poem> + 
-鞏路感懷 +^ 鞏路感懷 ^ 공로감회 ^ 
-馬嘶白日暮  劒鳴秋氣來 +| 馬嘶白日暮 | 마시백일모 | 
-我心渺無際  河上空徘徊 +| 劒鳴秋氣來 | 검명추기래 | 
-</poem>+| 我心渺無際 | 아심묘무제 | 
 +| 河上空徘徊 | 하상공배회 | 
 ++++해석|<poem> ++++해석|<poem>
 강가에서 강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