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문학:국문학:현대시:근현대시 [2021/04/26 15:10] clayeryan@gmail.com [최남선(崔南善)(1890-1957)] |
문학:국문학:현대시:근현대시 [2021/06/09 14:38] (현재) clayeryan@gmail.com [한국 근현대 (1900-1955년도 기준) 시인과 시 목록] |
||
---|---|---|---|
줄 3: | 줄 3: | ||
====== 한국 근현대 (1900-1955년도 기준) 시인과 시 목록 ====== | ====== 한국 근현대 (1900-1955년도 기준) 시인과 시 목록 ====== | ||
- | 한국의 명시 증보판 김희보 1005편 기준 | + | [한국의 명시 증보판] 김희보 |
**참고사이트** [[http:// | **참고사이트** [[http:// | ||
+ | |||
+ | [[http:// | ||
=====근대시의 태동===== | =====근대시의 태동===== | ||
줄 185: | 줄 187: | ||
====이광수(李光洙)(1892~1950)==== | ====이광수(李光洙)(1892~1950)==== | ||
- | 빛 | + | ++++빛| |
+ | < | ||
+ | 만물은 빛으로 이어서 하나. | ||
+ | 중생은 마음으로 붙어서 하나. | ||
+ | 마음 없는 중생 있던가? | ||
+ | 빛 없는 만물 있던가? | ||
+ | 흙에서도 물에서도 빛은 난다. | ||
+ | 만일에 탈 때에는 온 몸이 모두 빛. | ||
+ | 해와 나, | ||
+ | 모든 별과 나 | ||
+ | 빛으로 얽히어 한 몸이 아니냐? | ||
+ | 소와 나, 개와 나, | ||
+ | 마음으로 붙어서 한 몸이로구나. | ||
+ | 마음이 엉키어서 몸, 몸이 타며는 마음의 빛 | ||
+ | 항성들의 빛도 걸리는 데가 있고 | ||
+ | 적외선 엑스선도 막히는 데가 있건마는 | ||
+ | 원 없는 마음의 빛은 시방(十方)을 두루 비쳐라. | ||
+ | </ | ||
+ | ++++붓 한 자루| | ||
+ | < | ||
붓 한 자루 | 붓 한 자루 | ||
+ | 나와 일생을 같이 하련다. | ||
- | 비둘기 | + | 무거운 은혜 |
+ | 인생에서 받은 갖가지 은혜, | ||
+ | 어찌나 갚을지 | ||
+ | 무엇해서 갚을지 망연해도 | ||
- | 절지(折枝) | + | 쓰린 가슴을 |
+ | 부둠고 가는 나그네 무리 | ||
+ | 쉬어나 가게 | ||
+ | 내 하는 이야기를 듣고나 가게 | ||
- | 임 | + | 붓 한자루여 |
+ | 우리는 이야기나 써볼까이나. | ||
+ | </ | ||
- | 노래 | + | ++++비둘기| |
+ | < | ||
+ | 오오 봄 아침에 구슬프게 우는 비둘기 | ||
+ | 죽은 그 애가 퍽으나도 섧게 듣던 비둘기 | ||
+ | 그 애가 가는 날 아침에도 꼭 저렇게 울더니, | ||
- | 할미꽃 | + | 그 애, 그 착한 딸이 죽은 지도 벌써 일년 |
+ | " | ||
+ | 산으로 돌아다니며 울고 싶어” 하더니. | ||
+ | </ | ||
- | 불에 타는 벌레 | + | ++++절지(折枝)| |
+ | < | ||
+ | 꺾인 나뭇가지 | ||
+ | 병에 꽂혀서 | ||
+ | 꽃 피고 잎 피네 | ||
- | 임네가 그리워 | + | 뿌리 끊인 줄을 |
+ | 잊음 아니나 | ||
+ | 맺힌 맘 못 풀어서라 | ||
- | 입산하는 벗을 보내고서 | + | 맺힌 봉우리는 |
+ | 피고야 마네 | ||
+ | 꺾은 맘이길래 | ||
+ | </ | ||
- | 서울로 간다는 소 | + | ++++임| |
+ | < | ||
+ | 산 넘어 또 산 넘어 임을 꼭 뵈옵고 | ||
+ | 저넘은 산이 백이언만 넘을 산이 천(千)가 만(萬)가 | ||
+ | 두어라 억이요 조(兆)라도 넘어 볼까 하노라. | ||
+ | </ | ||
- | ====주요한(朱耀翰)(1900~1979)==== | + | ++++노래| |
+ | < | ||
+ | 나는 노래를 부르네. | ||
+ | 끝없는 슬픈 노래를 부르네. | ||
+ | 천지가 모두 고요한 | ||
+ | 한밤중에 내 홀로 깨어 있어 | ||
+ | 목을 놓아 끝없는 노래를 부르네. | ||
- | 불놀이 | + | 노래는 떠 흩어지네. |
+ | 흐르는 바람결을 타고 흩어지네. | ||
+ | 새는 항아리에 물을 채우려고 | ||
+ | 길어다 붓고 또 길어다 붓는 | ||
+ | 여인 모양으로 나는 노래를 부르네. | ||
- | 샘물이 혼자서 | + | 나는 귀를 기울이네. |
+ | 한 노래가 끝날 때마다 귀를 기울이네. | ||
+ | 산에서나, 들에서나, | ||
+ | 행여나 화답이 오나 하고 귀를 기울이네. | ||
+ | 그리고는 또 끝없는 내 노래를 부르네. | ||
+ | </ | ||
- | 부끄러움 | + | ++++할미꽃| |
+ | < | ||
+ | 보리밭 가에 | ||
+ | 찌그러진 무덤 | ||
+ | 그는 저 찌그러진 집에 | ||
+ | 살던 이의 무덤인가. | ||
- | 아기의 꿈 | + | 할미꽃 한 송이 |
+ | 고개를 숙였고나. | ||
- | 흰꽃 | + | 아아 그가 살던 밭에 |
+ | 아아 그가 사랑하던 보리, | ||
+ | 푸르고 누르고 | ||
+ | 끝없는 봄이 다녀 갔고나 | ||
- | 빗소리 | + | 이 봄에도 |
+ | 보리는 푸르고 할미꽃이 피니 | ||
+ | 그의 손자 손녀의 손에 | ||
+ | 나물 캐는 흙 묻은 식칼이 들렸고나. | ||
+ | 그 변함없는 농촌의 봄이여 | ||
+ | 끝없는, 흐르는 인생이여. | ||
+ | </ | ||
- | 명령 | + | ++++불에 타는 벌레| |
- | 복사꽃 피면 | + | < |
+ | 하루 살다 죽는다는 하루살이도 | ||
+ | 그 하루 무사히 살기 어려워 | ||
+ | 무엇이 애타노 무엇을 구하노 | ||
+ | 쉴 새 없이 헤매다 거미줄에 걸려 | ||
- | 가신 누님 | + | 불빛에 모여드는 여름 밤 나비들 |
+ | 광명이 그리워선가 따슨 거 찾아선가 | ||
+ | 기뻐선가 괴로워선가 싸고싸고 돌다가 | ||
+ | 불 속에 몸 던져 타 버리는 그들. | ||
+ | </ | ||
- | 봄달잡이 | + | ++++임네가 그리워| |
+ | < | ||
+ | 형제여 자매여 | ||
+ | 무너지는 돌탑 밑에 꿇어앉아 | ||
+ | 읊조리는 나의 노랫소리를 | ||
+ | 듣는가 듣는가. | ||
- | 전원송(田園頌) | + | 형제여 자매여 |
+ | 깨어진 질향로에 떨리는 손이 | ||
+ | 피우는 자단향의 향내를 맡는가 맡는가. | ||
- | 지금에도 못 잊는 것은 | + | 형제여 자매여 |
+ | 임네가 그리워, 그 가슴 속이 그리워 | ||
+ | 성문 밖에 서서 울고 기다리는 나를 | ||
+ | 보는가 보는가. | ||
+ | </ | ||
- | 아침 황포강(黃浦江)가에서 | + | ++++입산하는 벗을 보내고서| |
+ | < | ||
+ | 그대들은 | ||
+ | 산으로 가는구나. | ||
+ | 시끄러운 세상을 버리고 깊이 깊이 | ||
+ | 산으로 가는구나! | ||
- | 남국의 눈 | + | 산중에 새벽 종 울 때에 |
+ | | ||
+ | | ||
+ | 가라! 산길이 저물리! 어서 가소. | ||
- | ====김억(金億)(1895~? | + | 산에서 편지 왔네. |
+ | " | ||
+ | 벗아 외롭기야 산이나 들이나 다르랴. | ||
+ | 솜옷 보내니 입으라! 날 본 듯이 입으소. | ||
+ | </ | ||
- | 봄은 | + | ++++서울로 |
+ | < | ||
+ | 깎아 세운 듯한 삼방 고개로 | ||
+ | 누런 소들이 몰리어 오른다. | ||
+ | 구부러진 두 뿔을 들먹이고 | ||
+ | 가는 꼬리를 두르면서 간다. | ||
- | 물레 | + | 움머 움머 하고 연해 고개를 |
+ | 뒤로 돌릴 때에 발을 헛짚어 | ||
+ | 무릎을 꿇었다가 무거운 몸을 | ||
+ | 한 걸음 올리곤 또 돌려 움머. | ||
- | 사공의 | + | 갈모 쓰고 채찍 든 소장사야 |
+ | 산길이 험하여 운다고 마라. | ||
+ | 떼어 두고 온 젖먹이 송아지 | ||
+ | 눈에 아른거려 우는 줄 알라. | ||
- | 오다 가다 | + | 삼방 고개 넘어 세포 검불령 |
+ | 길은 끝없이 서울에 닿았네. | ||
+ | 사람은 이 길로 다시 올망정 | ||
+ | 새끼 둔 고산 땅, 소는 못 오네. | ||
- | 봄바람 | + | 안변 고산의 넓은 저 벌은 |
+ | 대대로 네 갈던 옛 터로구나. | ||
+ | 멍에에 벗겨진 등의 쓰림은 | ||
+ | 지고 갈 마지막 값이로구나. | ||
+ | </ | ||
+ | ====주요한(朱耀翰)(1900~1979)==== | ||
- | 비 | + | ++++불놀이| |
+ | < | ||
+ | 아, 날이 저문다. 서편 하늘에 외로운 강물위에 스러져 가는 분홍빛 놀…… 아아, 해가 저물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오건마는 오늘은 사월이라 파일날, 큰 길을 물밀어 가는 사람 소리는 듣기만 하여도 충성스러운것을, | ||
- | 갈매기 | + | 아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시뻘건 불덩이가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 위에서 내려다보니, |
- | 눈 오는 | + | 사월달 따스한 바람이 강을 넘으면 청류벽(淸流碧) 모란봉 높은 언덕 위에 허어옇게 흐느끼는사람떼, |
- | 서관(西關) | + | 아아, 강물이 웃는다. 괴상한 웃음이다. 차디찬 강물이 컴컴한 하늘을 보고 웃는 웃음이다. 아아, 배가 올라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적마다 슬프게 슬프게 삐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
- | 연분홍 | + |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능라도까지, |
+ | </ | ||
- | 삼수갑산(三水甲山) | + | ++++샘물이 혼자서| |
+ | < | ||
+ | 샘물이 혼자서 | ||
+ | 춤추며 간다. | ||
+ | 산골짜기 돌 틈으로 | ||
- | ====황석우(黃錫禹)(1895~1959)==== | + | 샘물이 혼자서 |
+ | 웃으며 간다. | ||
+ | 험한 산길 꽃 사이로 | ||
- | 벽모(碧毛)의 묘(猫) | + | 하늘은 맑은데, |
- | 초대장 | + | 즐거운 그 소리 |
+ | 산과 들에 울리운다. | ||
+ | </ | ||
- | 봄 | + | ++++부끄러움| |
+ | < | ||
+ | 뒷동산에 꽃 캐러 | ||
+ | 언니 따라 갔더니 | ||
+ | 솔가지에 걸리어 | ||
+ | 다홍치마 찢었습네. | ||
- | 그네들의 비밀을 | + | 누가 |
+ | 지름길로 왔더니 오늘따라 새 베는 임이 | ||
+ | 지름길에 나왔습네. | ||
- | 나무와 풀의 생리 | + | 뽕밭 옆에 김 안 매고 |
+ | 새 베러 | ||
+ | </ | ||
- | 광선의 부채 | + | ++++아기의 꿈| |
+ | < | ||
+ | 벌써 어디서 다듬이 소리가 들린다. | ||
+ | 별이 아직 하나밖에 아니 뵈는데, | ||
+ | 달빛에 노니는 강물에 목욕하러 | ||
+ | 색시들이 강으로 간다. | ||
- | 달과 태양의 교차(交叉) | + | 바람이 간다, 아기의 졸리운 머리 속으로. |
+ | 수수밭에 속삭이는 소리를 | ||
+ | 아기는 알아 듣고 웃는다. | ||
- | ====오상순(吳相淳)(1894~1963)==== | + | 아기는 곡조 모를 노래로 대답한다. |
+ | 어머님이 아기 잠을 재우러 할 적에. | ||
- | 아시아의 마지막 밤풍경 | + | 어머님의 사랑하는 |
+ | 이제 곧 잠들겠습니다. | ||
- | 방랑의 마음 | + | 잠들어서 이불에 가만히 누인 뒤에, |
+ | 몰래 일어나 아기는 나가겠습니다. | ||
+ | 나가서 저기 꿈 같은 흰 들길에서 | ||
+ | 그이를 만나 어머님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 ||
- | 허무혼(虛無魂)의 선언 | + | 그러면, 어머님은 아기가 잘도 잔다 하시고, |
+ | 다듬질한 옷을 풀밭에 널러 | ||
+ | 아기의 웃는 얼굴에 입맞추고 나가시겠지요. | ||
- | 첫날밤 | + | 그럴 적에 아기는 앞 강을 |
+ | 그이 계신 곳에 가 보겠습니다. | ||
+ | 가서 그이에게 어머님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 ||
+ | </ | ||
- | ====남궁벽(南宮璧)(1895~1922)==== | + | ++++흰꽃| |
+ | < | ||
+ | 민물이 땅의 벗은 가슴을 씻는 큰 강가에 | ||
+ | 달빛이 물과 흙에 단꿈을 부어 줄 적에 | ||
+ | 그 언덕에 수없는 흰 꽃이 피어납니다. | ||
- | 풀 | + | 달빛에 피는 꽃이매 그 입술은 눈같이 흽니다. |
+ | 사람 몰래 피는 향기 없는 흰 꽃...... | ||
+ | 무한한 물결 노니는 강가에 피는 꽃...... | ||
- | 별의 | + | 아침이 오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꽃...... |
+ | 어린아이들같이 머리를 모으고 조는 꽃...... | ||
+ | 달빛만 그 입을 맞추어 주는 적적한 꽃...... | ||
- | 말[馬] | + | 달 밝고 물소리 끊임없는 무한한 강가에 |
+ | 수없이 흰 꽃이 밤을 숨어 피어납니다. | ||
+ | </ | ||
- | ====변영로(卞榮魯)(1897~1961)==== | + | ++++빗소리| |
+ | < | ||
+ | 비가 옵니다. | ||
+ | 밤은 고요히 깃을 벌리고 | ||
+ | 비는 뜰 위에 속삭입니다. | ||
+ | 몰래 지껄이는 병아리같이. | ||
- | 논개(論介) | + | 이즈러진 달이 실낱 같고 |
+ | 별에서도 봄이 흐를 듯이 | ||
+ | 따뜻한 바람이 불더니 | ||
+ | 오늘은 이 어둔 밤을 비가 옵니다. | ||
- | 봄비 | + | 비가 옵니다. |
+ | 다정한 손님같이 비가 옵니다. | ||
+ | 창을 열고 맞으려 하여도 | ||
+ | 보이지 않게 속삭이며 비가 옵니다. | ||
- | 조선의 마음 | + | 비가 옵니다. |
+ | 뜰 위에 창 밖에 지붕에 | ||
+ | 남모를 기쁜 소식을 | ||
+ | 나의 가슴에 전하는 비가 옵니다. | ||
+ | </ | ||
- | 생시에 못 뵈올 임을 | + | ++++명령| |
+ | < | ||
+ | 사랑이 오라 하면 | ||
+ | 불로라도 물로라도 아니 가오리까? | ||
+ | 사랑이 손짓하여 부르면 험한 것을 사양하오리까? | ||
+ | 사랑이 오오 사랑이 나를 찾는다면 | ||
+ | 마중하여 먼 길을 아니 가오리까? | ||
+ | 만나거든 다시는 떠나지 않도록 | ||
+ | 사랑이여 나더러 오라 하소서. | ||
+ | 발 벗은 채로 뛰어 가오리다. | ||
+ | 사랑이여 나더러 빨리 오라 하소서. | ||
+ | 모든 것 버리고 달려 가오리다. | ||
+ | 사랑이여 나를 따라오라 하소서 | ||
+ | 땅 끝까지 가오리다. | ||
+ | 그 명령이 그런 힘을 나에게 줍니다. | ||
+ | </ | ||
- | ====김소월(金素月)(1902~1934)==== | + | ++++복사꽃 피면| |
+ | < | ||
+ | 복사꽃이 피면 | ||
+ | 가슴 아프다. | ||
+ | 속생각 너무나 | ||
+ | 한없으므로 | ||
+ | </ | ||
- | 금잔디 | + | ++++가신 누님| |
+ | < | ||
+ | 강남 제비 오는 날 | ||
+ | 새 옷 입고 꽃 꽂고 | ||
+ | 처녀 색시 앞뒤 서서 | ||
+ | 우리 누님 뒷산에 갔네. | ||
- | 엄마야 누나야 | + | 가서 올 줄 알았더니 |
+ | 흙 덮고 금잔디 덮어 | ||
+ | 병풍 속에 그린 닭이 | ||
+ | 울더라도 못 온다네. | ||
+ | 섬돌 위에 봉사꽃이 | ||
+ | 피더라도 못 온다네. | ||
+ | </ | ||
- | 초혼 | + | ++++봄달잡이| |
+ | < | ||
+ | 봄날에 달을 잡으러 | ||
+ | 푸른 그림자를 밟으며 갔더니 | ||
+ | 바람만 언덕에 풀을 스치고 | ||
+ | 달은 물을 건너 가고요...... | ||
- | 진달래꽃 | + | 봄날에 |
+ | 금물결 헤치고 저어 갔더니 | ||
+ | 돌 씻는 물소리만 적적하고 | ||
+ | 달은 들 넘어 재 넘어 기울고요 - | ||
- | 산유화(山有花) | + | 봄날에 달을 잡으러 |
+ | ' | ||
+ | 반쯤만 얼굴을 내다보면서 | ||
+ | “꿈이 아니었더면 어떻게 왔으랴.” | ||
+ | </ | ||
- | 접동새 | + | ++++전원송(田園頌)| |
+ | < | ||
+ | 전원으로 오게, 전원은 우리에게 | ||
+ | 새로운 기쁨을 가져오나니 | ||
+ | 익은 열매와 붉은 잎사귀 | ||
+ | 가을 풍성은 지금이 한창일세. | ||
- | 먼 후일 | + | 아아 도회의 핏줄 선 눈을 버리고 |
+ | 수그러진 어깨와 가쁜 호흡과 | ||
+ | 아우성치는 고독의 거리를 버리고 | ||
+ | 푸른 봉우리 솟아오른 전원으로 오게 오게.. | ||
- | 못 잊어 | + | 달이 서러운 밭도랑을 희게 비치고 |
+ | 얼어붙은 강물과 다리와 어선 위에 | ||
+ | 눈은 내려서 녹고 또 꽃필 적이 | ||
+ | 우리들이 깊이 또 고요히 묵상할 때일세. | ||
- | 길 | + | 전원으로 오게, 건강의 전원으로, |
+ | 인공과 암흑과 시기와 잔혹의 도회 | ||
+ | 잠잘 줄 모르는 도회 달과 별을 향하여 | ||
+ | 어리석은 반항을 하는 도회를 떠나. | ||
- | 오시는 눈 | + | 노래는 들에 가득히 산에 울려 나오고 |
+ | 향기와 빛깔은 산에서 들로 퍼져 간다. | ||
+ | 아름다운 봄! 양지에 보드랍게 풀린 | ||
+ | 흙덩이를 껴안고 입맞추고 싶은 봄. | ||
-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 | 그러나, 보라 도회는 피 빠는 박쥐가 깃들인 곳 |
+ | 흉한 강철의 신 앞에 사람 사람이 | ||
+ | 피와 살과 자녀까지 바쳐야 하는 | ||
+ | 도회는 문명의 막다른 골 무덤. | ||
- | 가는 길 | + | 전원으로! 여기 끊임없는 샘물이 솟네. |
+ | 여기 영원한 새로움이 흘러나네. | ||
+ | 더운 태양과 강건한 대지의 | ||
+ | 자라나는 여름의 전원으로! | ||
- | 산 | + | 아아 그때 새 예언자의 외치는 소리가 |
+ | 봉우리와 골짜기를 크게 울리더니 | ||
+ | 반역자가 인류의 유업을 차지하리니 | ||
+ | 위대한 리듬의 전원으로 오게 오게. | ||
+ | </ | ||
- | 하늘 끝 | + | ++++지금에도 못 잊는 것은| |
+ | < | ||
+ | 지금에도 못 잊는 것은 | ||
+ | 안개 속에 돛 달고 가던 배 | ||
- | 님의 노래 | + | 바람도 없는 아침 물결에 |
+ | 소리도 없이 가 버린 배 | ||
- | 나의 집 | + | 배도 가고 세월도 갔건마는 |
+ | 안개 속 같은 어릴 적 꿈은 | ||
- | 신앙 | + | 옛날의 돛 달고 가던 배같이 |
+ | 안개 속에 가고 오지 않는 배같이 | ||
+ | </ | ||
- | 꿈으로 오는 한 사람 | + | ++++아침 황포강(黃浦江)가에서| |
+ | < | ||
+ | 아침 황포강 가에서 기선이 웁디다 웁디다. | ||
+ | 삼판은 보채고 기선이 웁디다 설운 소리로... | ||
- |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 + | 아침 황포강 |
+ | 춤을 추면서 금비단 치마 입고 춤을 춥디다. | ||
- | 지연(紙鳶) | + | 아침 황포강에서 안개가 거칩디다 거칩디다. |
+ | 인사하면서 눈웃음 웃으며 인사하면서 | ||
- | ====홍사용(洪思容) (1900~1947)==== | + | 아침 황포강 가에서 기선이 떠납디다 떠납디다. |
+ | 눈이 부어서 물에 빠져 죽으려는 새악세럼… | ||
- | 시악시 마음은 | + | 아침 황포강에서 희극이 생깁디다 생깁디다. |
+ | 세관의 자명종이 열 시를 칠 적에 | ||
- |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 + | 아침 황포강에서 기선이 웁디다 웁디다. |
+ | 설운 소리로 샛노란 소리로 기선이 웁디다. | ||
+ | </ | ||
- | 나는 왕이로소이다 | + | ++++남국의 눈| |
+ | < | ||
+ | 푸른 | ||
+ | 남국의 눈이 옵니다. | ||
- | ====이상화(李相和)(1901~1943)==== | + | 오늘 밤을 못 다 가서 사라질 것을... |
+ | 설운 꿈같이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을... | ||
+ | 푸른 가지 위에 피는 흰 꽃을 | ||
+ | 설운 꿈 같은 남국의 눈입니다. | ||
- | 가장 비통한 기원 | + | 젊은 |
+ | 남국의 때아닌 흰 눈입니다. | ||
+ | </ | ||
- | 무제 | + | ====김억(金億)(1895~? |
- | 역천(逆天) | + | ++++봄은 간다| |
+ | < | ||
+ | 밤이도다. | ||
+ | 봄이다. | ||
- | 이별 | + | 밤만도 애달픈데 |
+ | 봄만도 생각인데 | ||
- | 말세의 희탄(희歎) | + | 날은 빠르다. |
+ | 봄은 간다. | ||
- | 이중의 사망 | + | 깊은 생각은 아득 |
+ | 저 바람에 새가 슬피 운다. | ||
- | 나의 침실로 | + | 검은 내 떠돈다. |
+ | 종소리 비낀다. | ||
-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 | 말도 없는 밤의 설움 |
+ | 소리 없는 봄의 | ||
- | 시인에게 | + | 꽃은 떨어진다. |
+ | 님은 탄식한다. | ||
+ | </ | ||
+ | ++++물레| | ||
+ | < | ||
+ | 물레나 바퀴는 | ||
+ | 실실이 | ||
+ | 어제도 오늘도 흥겨이 돌아도 | ||
+ | 사람의 한 생(生)은 시름에 돈다오. | ||
- | ====박종화(朴種和)(1901~1981)==== | + | 물레나 바퀴는 |
+ | 실실이 시르렁 | ||
+ | 외마디 겹마리 실마리 풀려도 | ||
+ | 꿈 같은 세상은 가두새 얽힌다. | ||
- | 사(死)의 예찬 | + | 물레나 바퀴는 |
+ | 실실이 시르렁 | ||
+ | 언제는 실마리 잠자던 도련님 | ||
+ | 인제는 못 풀어 날 잡고 운다오. | ||
- | 청자부 | + | 물레나 바퀴는 |
+ | 실실이 시르렁 | ||
+ | 원수의 도련님 실마리 풀어라 | ||
+ | 못 풀 걸 왜 감고 날다려 풀리나. | ||
+ | </ | ||
- | ====노자영(盧子泳)(1900~1940)==== | + | ++++사공의 아내| |
+ | < | ||
+ | 모래밭 스며드는 하얀 이 물은 | ||
+ | 넓은 바다 동해를 모두 휘돈 물. | ||
- | 버들피리 | + | 저편은 원산 항구 이편은 장전(長節) |
+ | 고기잡이 가장님 | ||
- | 사공의 노래 | + | 모래밭 사록사록 스며드는 물 |
+ | 몇 번이나 내 손을 씻고 스친고, | ||
- | 불 사루자 | + | 몇 번이나 이 물에 어리었을가? |
+ | 들고나며 우리 님 검은 그 얼굴, | ||
+ | </ | ||
- | ====박영희(朴英熙)(1901~? | + | ++++오다 가다| |
+ | < | ||
+ | 오다 가다 길에서 | ||
+ |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 ||
+ | 갈 줄 아는가. | ||
- | 유령의 나라 | + | 뒷산은 청청(靑靑) |
+ | 풀 잎사귀 푸르고 | ||
+ | 앞바단 중중(重重) | ||
+ | 흰 거품 밀려든다. | ||
- | 월광으로 짠 병실 | + | 산새는 죄죄 |
+ | 제 흥을 노래하고 | ||
+ | 바다엔 흰 돛 | ||
+ | 옛 길을 찾노란다. | ||
- | 어둠 너머로 | + | 자다 깨다 꿈에서 |
+ | 만난 이라고 | ||
+ | 그만 잊고 그대로 | ||
+ | 갈 줄 아는가. | ||
- | ====김기진(金基鎭)(1903~1985)==== | + | 십리 포구 산 너먼 |
+ | 그대 사는 곳 | ||
+ | 송이송이 살구꽃 | ||
+ | 바람과 논다. | ||
- | 백수(白手)의 탄식 | + | 수로(水路) 천리 먼먼 길 |
+ | 왜 온 줄 아나. | ||
+ | 예전 놀던 그대를 | ||
+ | 못 잊어 왔네. | ||
+ | </ | ||
- | ====한용운(韓龍雲)(1879~1944)==== | + | ++++봄바람| |
+ | < | ||
+ | 하늘하늘 | ||
+ | 잎사귀와 춤을 춥니다. | ||
- | 님의 침묵 | + | 하늘하늘 |
+ | 꽃송이와 입맞춥니다. | ||
- | 이별 | + | 하늘하늘 |
+ | 어디론지 떠나갑니다. | ||
- | 찬송 | + | 하늘하늘 |
+ | 떠서 도는 하늘바람은 | ||
- | 당신을 보았습니다 | + | 그대 잃은 |
+ | 이내 몸의 넋들이외다 | ||
+ | </ | ||
- | 수(繡)의 | + | ++++비| |
+ | < | ||
+ | 포구 십리에 보슬보슬 | ||
+ | 쉬지 않고 내리는 비는 | ||
+ | 긴 여름날의 한나절을 | ||
+ | 모래알만 울려 놓았소. | ||
- | 예술가 | + | 기다려선 안 오다가도 |
+ | 설운 날이면 보슬보슬 | ||
+ | 만나도 못코 떠나 버린 | ||
+ | 그 사람의 눈물이던가. | ||
- | 최초의 님 | + | 설운 날이면 보슬보슬 |
+ | 어영도(魚泳島)라 갈매기 떼도 | ||
+ | 지차귀가 축축히 젖어 | ||
+ | 너흘너흘 날아를 들고, | ||
- | 당신이 아니더면 | + | 자취 없는 물길 삼백 리 |
+ | 배를 타면 어디를 가노 | ||
+ | 남포 사공 이내 낭군님 | ||
+ | 어느 곳을 지금 헤매노. | ||
+ | </ | ||
- | 거문고 탈 때 | + | ++++갈매기| |
+ | < | ||
+ | 봄철의 방향(芳香)에 취한 | ||
+ | 웃으며 뛰노는 바다 위를 | ||
+ | 하얗게도 떠도는 갈매기. | ||
+ | 이즈러지는 저녁 해가 | ||
+ | 고요히 남은 별을 거둘 | ||
+ | 어두워 가는 바다 위를 | ||
+ | 하얗게도 떠도는 갈매기. | ||
- | 오세요 | + | 소리도 없이 잠자코 넘어가는 |
+ | 저녁 바다 위에 혼자서 스러지는 | ||
+ | 어린 날의 황금의 꿈은 | ||
+ | 하얗게도 떠도는 갈매기와도 같이... | ||
+ | </ | ||
- | 군말 | + | ++++눈 오는 밤| |
+ | < | ||
+ | 눈이 옵니다 눈이 옵니다 | ||
+ | 달빛을 타고 눈이 옵니다 | ||
+ | 소리도 없이 잠든 거리로 | ||
+ | 눈이 옵니다 눈이 옵니다 밤새도록 | ||
- | 알 수 없어요 | + | 눈이 옵니다 눈이 옵니다. |
+ | 햇볕에 녹을 몸이 섧다고 | ||
+ | 달빛을 타고 밤에 옵니다. | ||
+ | 소리도 | ||
- | 복종 | + | 눈이 옵니다 눈이 옵니다. |
+ | 외로운 심사 풀 길 없다고 | ||
+ | 달빛을 찾아 잠든 거리로 | ||
+ | 눈이 옵니다 눈이 옵니다 밤새도록 | ||
+ | </ | ||
- | 명상 | + | ++++서관(西關) 아가씨| |
+ | < | ||
+ | 무심타 바람에 꽃이 폈다가 | ||
+ | 헛되이 그 바람에 지고 맙니다. | ||
+ | 서럽지 않을까요. | ||
+ | 서관 아가씨. | ||
- | 타고르의 시(Gardenisto)를 읽고 | + | 오늘도 능라도라 버들개지는 |
+ | 물 위를 돌다 돌다 흘러갑니다. | ||
+ | 애닮지 않을까요. | ||
+ | 서관 아가씨. | ||
- | 나룻배와 행인 | + | 떨리기 쉬운 것은 꽃뿐이리까 |
+ | 새파란 이 청춘도 잠깐이외다. | ||
+ | 가엽지 않을까요. | ||
+ | 서관 아가씨. | ||
+ | </ | ||
- | 비밀 | ||
- | ====김형원(金炯元)(1901~? | + | ++++연분홍| |
+ | < | ||
+ | 봄바람 하늘하늘 넘노는 길에 | ||
+ | 연분홍 살구꽃이 눈을 틉니다. | ||
- | 벌거숭이의 노래 | + | 연분홍 송이송이 못내 반가와 |
+ | 나비는 너훌너훌 춤을 춥니다. | ||
- | 숨쉬이는 목내이(木乃伊) | + | 봄바람 하늘하늘 넘노는 길에 |
+ | 연분홍 살구꽃이 나부낍니다. | ||
+ | 연분홍 송이송이 바람에 지니 | ||
+ | 나비는 울며울며 돌아섭니다. | ||
+ | </ | ||
- | 그대가 물으면 | ||
- | ====양주동(梁柱東)(1903~1977)==== | + | ++++삼수갑산(三水甲山)| |
+ | < | ||
+ | 삼수갑산 가고지고 | ||
+ | 삼수갑산 어디메냐 | ||
+ | 아하 산 첩첩에 흰구름만 쌓이고 쌓였네. | ||
- | 영원한 비밀 | + | 삼수갑산 보고지고 |
+ | 삼수갑산 아득코나 | ||
+ | 아하 촉도난(蜀道難)이 이보다야 더할소다. | ||
- | 산길 | + | 삼수갑산 어디메냐 |
+ | 삼수갑산 내 못 가네 | ||
+ | 아하 새더라면 날아날아 가련만도. | ||
+ | </ | ||
- | 산 넘고 물 건너 | + | ====황석우(黃錫禹)(1895~1959)==== |
- | 조선의 | + | ++++벽모(碧毛)의 묘(猫)|< |
+ | ++++초대장|< | ||
+ | ++++봄|< | ||
+ | ++++그네들의 비밀을 누가 압니까|< | ||
+ | ++++나무와 풀의 생리|< | ||
+ | ++++광선의 | ||
+ | ++++달과 태양의 교차(交叉)|< | ||
- | 해곡(海曲)3장 | + | ====오상순(吳相淳)(1894~1963)==== |
- | ====이장희(李章熙)(1900~1929)==== | + | ++++아시아의 마지막 밤풍경|< |
+ | ++++방랑의 마음|< | ||
+ | ++++허무혼(虛無魂)의 선언|< | ||
+ | ++++첫날밤|< | ||
- | 봄철의 바다 | + | ====남궁벽(南宮璧)(1895~1922)==== |
- | 하일 소경(夏日小景) | + | ++++풀|< |
+ | ++++별의 아품|< | ||
+ | ++++말[馬]|< | ||
- | 봄은 고양이로다 | + | ====변영로(卞榮魯)(1897~1961)==== |
- | 고양이의 꿈 | + | ++++논개(論介)|< |
+ | ++++봄비|< | ||
+ | ++++조선의 마음|< | ||
+ | ++++생시에 못 뵈올 임을|< | ||
- | 청천(靑天)의 유방 | + | ====김소월(金素月)(1902~1934)==== |
- | 쓸쓸한 | + | ++++금잔디|< |
+ | ++++엄마야 누나야|< | ||
+ | ++++초혼|< | ||
+ | ++++진달래꽃|< | ||
+ | ++++산유화(山有花)|< | ||
+ | ++++접동새|< | ||
+ | ++++먼 후일|< | ||
+ | ++++못 잊어|< | ||
+ | ++++길|< | ||
+ | ++++오시는 눈|< | ||
+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
+ | ++++가는 길|< | ||
+ | ++++산|< | ||
+ | ++++하늘 끝|< | ||
+ | ++++님의 노래|< | ||
+ | ++++나의 집|< | ||
+ | ++++신앙|< | ||
+ | ++++꿈으로 오는 한 사람|< | ||
+ |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 ||
+ | ++++지연(紙鳶)|< | ||
- | ====백기만(白基萬)(1902~1967)==== | + | ====홍사용(洪思容) (1900~1947)==== |
- | 청개구리 | + | ++++시악시 마음은|< |
+ |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 ||
+ | ++++나는 왕이로소이다|< | ||
- | 은행나무 그늘 | + | ====이상화(李相和)(1901~1943)==== |
- | 고별 | + | ++++가장 비통한 기원|< |
+ | ++++무제|< | ||
+ | ++++역천(逆天)|< | ||
+ | ++++이별|< | ||
+ | ++++말세의 희탄(희歎)|< | ||
+ | ++++이중의 사망|< | ||
+ | ++++나의 침실로|< | ||
+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
+ | ++++시인에게|< | ||
- | 실제(失題) | + | ====박종화(朴種和)(1901~1981)==== |
- | 아름다운 달 | + | ++++사(死)의 예찬|< |
+ | ++++청자부|< | ||
- | ====정인보(鄭寅普)(1892~1950)==== | + | ====노자영(盧子泳)(1900~1940)==== |
- | 조춘(早春) | + | ++++버들피리|< |
+ | ++++사공의 노래|< | ||
+ | ++++불 사루자|< | ||
- | 근화사 3첩 | + | ====박영희(朴英熙)(1901~? |
- | 자모사초(慈母思抄) | + | ++++유령의 나라|< |
+ | ++++월광으로 짠 병실|< | ||
+ | ++++어둠 너머로|< | ||
- | ====이병기(李秉岐)((1891~1968)==== | + | ====김기진(金基鎭)(1903~1985)==== |
- | 난초 | + | ++++백수(白手)의 탄식|< |
- | 고향으로 돌아가자 | + | ====한용운(韓龍雲)(1879~1944)==== |
- | 비 | + | ++++님의 침묵|< |
+ | ++++이별|< | ||
+ | ++++찬송|< | ||
+ | ++++당신을 보았습니다|< | ||
+ | ++++수(繡)의 | ||
+ | ++++예술가|< | ||
+ | ++++최초의 님|< | ||
+ | ++++당신이 아니더면|< | ||
+ | ++++거문고 탈 때|< | ||
+ | ++++오세요|< | ||
+ | ++++군말|< | ||
+ | ++++알 수 없어요|< | ||
+ | ++++복종|< | ||
+ | ++++명상|< | ||
+ | ++++타고르의 시(Gardenisto)를 읽고|< | ||
+ | ++++나룻배와 행인|< | ||
+ | ++++비밀|< | ||
- | 아차산 | + | ====김형원(金炯元)(1901~? |
- | 오동꽃 | + | ++++벌거숭이의 노래|< |
+ | ++++숨쉬이는 목내이(木乃伊)|< | ||
+ | ++++그대가 물으면|< | ||
- | 박연폭포 | + | ====양주동(梁柱東)(1903~1977)==== |
- | 냉이꽃 | + | ++++영원한 비밀|< |
+ | ++++산길|< | ||
+ | ++++산 넘고 물 건너|< | ||
+ | ++++조선의 맥박|< | ||
+ | ++++해곡(海曲)3장|< | ||
- | 창 | + | ====이장희(李章熙)(1900~1929)==== |
- | 젖 | + | ++++봄철의 바다|< |
+ | ++++하일 소경(夏日小景)|< | ||
+ | ++++봄은 고양이로다|< | ||
+ | ++++고양이의 꿈|< | ||
+ | ++++청천(靑天)의 유방|< | ||
+ | ++++쓸쓸한 시절|< | ||
- | 봄 | + | ====백기만(白基萬)(1902~1967)==== |
- | 가섭봉(迦葉峰) | + | ++++청개구리|< |
+ | ++++은행나무 그늘|< | ||
+ | ++++고별|< | ||
+ | ++++실제(失題)|< | ||
+ | ++++아름다운 달|< | ||
- | 계곡 | + | ====정인보(鄭寅普)(1892~1950)==== |
- | 매화 | + | ++++조춘(早春)|< |
+ | ++++근화사 3첩|< | ||
+ | ++++자모사초(慈母思抄)|< | ||
- | 비오리 | + | ====이병기(李秉岐)((1891~1968)==== |
- | + | ||
- | 총석정 | + | |
- | + | ||
- | 천마산협 | + | |
- | 농촌화첩 | + | ++++난초|< |
- | + | ++++고향으로 돌아가자|< | |
- | 돌아가신 날 | + | ++++비|< |
+ | ++++아차산|< | ||
+ | ++++오동꽃|< | ||
+ | ++++박연폭포|< | ||
+ | ++++냉이꽃|< | ||
+ | ++++창|< | ||
+ | ++++젖|< | ||
+ | ++++봄|< | ||
+ | ++++가섭봉(迦葉峰)|< | ||
+ | ++++계곡|< | ||
+ | ++++매화|< | ||
+ | ++++비오리|< | ||
+ | ++++총석정|< | ||
+ | ++++천마산협|< | ||
+ | ++++농촌화첩|< | ||
+ | ++++돌아가신 날|< | ||
====이은상(李殷相)(1903~1982)==== | ====이은상(李殷相)(1903~1982)==== | ||
- | 금강귀로(金剛歸路) | + | ++++금강귀로(金剛歸路)|< |
- | + | ++++오륙도|< | |
- | 오륙도 | + | ++++단풍 한 잎|< |
- | + | ++++천지송(天地頌)|< | |
- | 단풍 한 잎 | + | ++++가인산(可人山)|< |
- | + | ++++효대(孝臺)|< | |
- | 천지송(天地頌) | + | ++++고지가 바로 저긴데|< |
- | + | ++++심산 풍경|< | |
- | 가인산(可人山) | + | ++++성불사의 밤|< |
- | + |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 |
- | 효대(孝臺) | + | ++++밤 빗소리|< |
- | + | ++++소경 되어지이다|< | |
- | 고지가 바로 저긴데 | + | ++++가고파|< |
- | + | ||
- | 심산 풍경 | + | |
- | + | ||
- | 성불사의 밤 | + | |
- | + | ||
- |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 + | |
- | + | ||
- | 밤 빗소리 | + | |
- | + | ||
- | 소경 되어지이다 | + | |
- | + | ||
- | 가고파 | + | |
====김동환(金東煥)(1901~1958? | ====김동환(金東煥)(1901~1958? | ||
- | 산 너머 남촌에는 | + | ++++산 너머 남촌에는|< |
- | + | ++++송화강 뱃노래|< | |
- | 송화강 뱃노래 | + | ++++웃은 죄|< |
- | + | ++++북청 물장수|< | |
- | 웃은 죄 | + | ++++오월의 향기|< |
- | + | ++++강이 풀리면|< | |
- | 북청 물장수 | + | ++++눈이 내리느니|< |
- | + | ++++가을|< | |
- | 오월의 향기 | + | ++++딸 삼 형제|< |
- | + | ++++패랭이꽃|< | |
- | 강이 풀리면 | + | ++++서사시/국경의 밤|< |
- | + | ||
- | 눈이 내리느니 | + | |
- | + | ||
- | 가을 | + | |
- | + | ||
- | 딸 삼 형제 | + | |
- | + | ||
- | 패랭이꽃 | + | |
- | + | ||
- | 서사시/국경의 밤 | + | |
=====순수시와 주지시===== | =====순수시와 주지시===== | ||
====박용철(朴龍喆)(1904~1938)===== | ====박용철(朴龍喆)(1904~1938)===== | ||
- | 떠나가는 배 | ||
- | |||
- | 눈은 내리네 | ||
- | |||
- | 단편 | ||
- | |||
- | 좁은 하늘 | ||
- | |||
- | 어디로 | ||
- | 이대로 가랴마는 | + | ++++떠나가는 배|< |
+ | ++++ |< | ||
+ | ++++눈은 내리네 |< | ||
+ | ++++단편 |< | ||
+ | ++++좁은 하늘 |< | ||
+ | ++++어디로 |< | ||
+ | ++++이대로 가랴마는 | ||
====김영랑(金永郞)(1903~1950)==== | ====김영랑(金永郞)(1903~1950)==== | ||
- |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
- | 모란이 피기까지는 | + |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
- | + | ++++모란이 피기까지는 | |
- | 언덕에 바로 누워 | + | ++++언덕에 바로 누워 |
- | +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
-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 | ++++내 마음 아실 이 |< |
- | + | ++++4행시(四行詩) | |
- | 내 마음 아실 이 | + | ++++5월 |< |
- | + | ++++땅거미 | |
- | 4행시(四行詩) | + | ++++묘비명 |
- | + | ++++4행시(초) | |
- | 5월 | + | ++++가늘한 내음 |
- | + | ++++오-매 단풍 들것네 | |
- | 땅거미 | + | ++++독(毒)을 차고 |
- | + | ++++춘향 | |
- | 묘비명 | + | ++++내 홋진 노래 |
- | + | ++++제야(除夜) | |
- | 4행시(초) | + | ++++북 |< |
- | + | ||
- | 가늘한 내음 | + | |
- | + | ||
- | 오-매 단풍 들것네 | + | |
- | + | ||
- | 독(毒)을 차고 | + | |
- | + | ||
- | 춘향 | + | |
- | + | ||
- | 내 홋진 노래 | + | |
- | + | ||
- | 제야(除夜) | + | |
- | + | ||
- | 북 | + | |
====김동명(金東鳴)(1900~1968)==== | ====김동명(金東鳴)(1900~1968)==== | ||
- | 파초 | + | ++++파초 |
- | + | ++++내 마음은 | |
- | 내 마음은 | + | ++++우리말 |
- | + | ++++손님 | |
- | 우리말 | + | ++++밤 |< |
- | + | ++++조 천명녀(弔天命女) | |
- | 손님 | + |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 주시면 |
- | + | ++++달 |< | |
- | 밤 | + | ++++진주만 |
- | + | ++++수난 | |
- | 조 천명녀(弔天命女) | + | ++++하늘 |
- | + | ++++수선화 | |
- |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 주시면 | + | |
- | + | ||
- | 달 | + | |
- | + | ||
- | 진주만 | + | |
- | + | ||
- | 수난 | + | |
- | + | ||
- | 하늘 | + | |
- | + | ||
- | 수선화 | + | |
====정지용(鄭芝溶)(1902~1950)==== | ====정지용(鄭芝溶)(1902~1950)==== | ||
- | 석류 | ||
- | |||
- | 향수 | ||
- | |||
- | 또 하나 다른 태양 | ||
- | 춘설(春雪) | + | ++++석류|< |
- | + | ++++향수|< | |
- | 나무 | + | ++++또 하나 다른 태양 |< |
- | + | ++++춘설(春雪) | |
- | 카페 프랑스 | + | ++++나무|< |
- | + | ++++카페 프랑스 | |
- | 가모가와(鴨川) | + | ++++가모가와(鴨川) |
- | + | ++++백록담(白鹿潭) | |
- | 백록담(白鹿潭) | + | ++++고향 |
- | + | ++++불사조 | |
- | 고향 | + | ++++유리창 1 |< |
- | + | ++++은혜|< | |
- | 불사조 | + | ++++홍춘(紅椿) |
- | + | ++++난초 | |
- | 유리창 1 | + | ++++해협 |
- | + | ++++저녁 햇살 | |
- | 은혜 | + | ++++임종 |
- | + | ++++별 |< | |
- | 홍춘(紅椿) | + | |
- | + | ||
- | 난초 | + | |
- | + | ||
- | 해협 | + | |
- | + | ||
- | 저녁 햇살 | + | |
- | + | ||
- | 임종 | + | |
- | + | ||
- | 별 | + | |
====오일도(吳一島)(1901~1946)==== | ====오일도(吳一島)(1901~1946)==== | ||
- | 내소녀 | ||
- | 누른 포도잎 | + | ++++내소녀 |< |
- | + | ++++누른 포도잎 | |
- | 내 연인이여! 가까이 오렴 | + | ++++내 연인이여! 가까이 오렴 |
- | + | ++++노변(爐邊)의 애가 | |
- | 노변(爐邊)의 애가 | + | ++++눈이여! 어서 내려다오 |
- | + | ++++오월 화단 | |
- | 눈이여! 어서 내려다오 | + | |
- | + | ||
- | 오월 화단 | + | |
====김상용(金尙鎔)(1902~1951)==== | ====김상용(金尙鎔)(1902~1951)==== | ||
- | 굴뚝노래 | ||
- | 눈 오는 아침 | + | ++++굴뚝노래 |< |
- | + | ++++눈 오는 아침 | |
- | 괭이 | + | ++++괭이 |
- | + | ++++물고기 하나 | |
- | 물고기 하나 | + | ++++태풍 |
- | + | ++++서글픈 꿈 |< | |
- | 태풍 | + | ++++새벽 별을 잊고 |
- | + | ++++기도 | |
- | 서글픈 꿈 | + | ++++한 잔 물 |< |
- | + | ++++해바라기 | |
- | 새벽 별을 잊고 | + | ++++어미소 |
- | + | ++++가을 | |
- | 기도 | + | ++++황혼의 한강 |
- | + | ++++노래 잃은 뻐꾹새 | |
- | 한 잔 물 | + | ++++손 없는 향연 |
- | + | ++++마음의 조각 | |
- | 해바라기 | + | ++++여수(旅愁)|< |
- | + | ++++포구(浦口) | |
- | 어미소 | + | ++++반딧불 |
- | + | ++++나 |< | |
- | 가을 | + | ++++향수(鄕愁) |
- | + | ++++추억 | |
- | 황혼의 한강 | + | |
- | + | ||
- | 노래 잃은 뻐꾹새 | + | |
- | + | ||
- | 손 없는 향연 | + | |
- | + | ||
- | 마음의 조각 | + | |
- | + | ||
- | 여수(旅愁) | + | |
- | + | ||
- | ++++남으로 창을 내겠소 | + | |
- | < | + | |
- | 남으로 창을 내겠소 | + | |
- | 밭이 한참갈이 | + | |
- | 괭이로 파고 | + | |
- | 호미론 김을 매지요 | + | |
- | + | ||
- |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 + | |
- |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 + | |
- | 강냉이가 익걸랑 | + | |
- | 함께 와 자셔도 좋소 | + | |
- | + | ||
- | 왜 사냐건 | + | |
- | 웃지요. | + | |
- | </ | + | |
- | + | ||
- | 포구(浦口) | + | |
- | + | ||
- | 반딧불 | + | |
- | + | ||
- | 나 | + | |
- | + | ||
- | 향수(鄕愁) | + | |
- | + | ||
- | 추억 | + | |
====이하윤(異河潤)(1906~1974)==== | ====이하윤(異河潤)(1906~1974)==== | ||
- | 들국화 | ||
- | 할머니와 할아버지 | + | ++++들국화 |< |
- | + | ++++할머니와 할아버지 | |
- | 물레방아 | + | ++++물레방아 |
- | + | ++++한 많은 밤 |< | |
- | 한 많은 밤 | + | ++++잃어진 무덤 |
- | + | ++++동포여 다 함께 새 아침을 맞자 | |
- | 잃어진 무덤 | + | |
- | + | ||
- | 동포여 다 함께 새 아침을 맞자 | + | |
====김광섭(金珖燮)(1905~1977)==== | ====김광섭(金珖燮)(1905~1977)==== | ||
- | 성북동 비둘기 | ||
- | |||
- | 마음 | ||
- | |||
- | 생(生)의 감각 | ||
- | |||
- | 동경 | ||
- | |||
- | 송별 | ||
- | |||
- | 산 | ||
- | |||
- | 시인(詩人) | ||
- | |||
- | 고독 | ||
- | |||
- | 비 갠 여름 아침 | ||
- | |||
- | 해바라기 | ||
- | |||
- | 꽃·나비·시 | ||
- | 고혼(孤魂) | + | ++++성북동 비둘기 |< |
+ | ++++마음 |< | ||
+ | ++++생(生)의 감각 |< | ||
+ | ++++동경 |< | ||
+ | ++++송별 |< | ||
+ | ++++산 |< | ||
+ | ++++시인(詩人) |< | ||
+ | ++++고독 |< | ||
+ | ++++비 갠 여름 아침 |< | ||
+ | ++++해바라기 |< | ||
+ | ++++꽃·나비·시 |< | ||
+ | ++++고혼(孤魂) | ||
====신석정(辛夕汀)(1907~1974)==== | ====신석정(辛夕汀)(1907~1974)==== | ||
-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
-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
- | +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
- | 봄을 기다리는 마음 | + | ++++봄을 기다리는 마음 |
- | + | ++++산수도(山水圖) | |
- | 산수도(山水圖) | + | ++++촐촐한 밤 |< |
- | + | ++++추석 | |
- | 촐촐한 밤 | + | ++++슬픈 구도(構圖) |
- | + | ++++나의 꿈을 엿보시겠습니까 | |
- | 추석 | + | ++++화석이 되고 싶어 |
- | + | ++++봄의 유혹 | |
- | 슬픈 구도(構圖) | + | ++++산으로 가는 마음 |
- | + | ++++지도 | |
- | 나의 꿈을 엿보시겠습니까 | + | ++++고운 심장 |
- | + | ++++어느 지류에 서서 | |
- | 화석이 되고 싶어 | + | ++++망향의 노래 |
- | + | ++++오후의 명상 | |
- | 봄의 유혹 | + | ++++나뭇등걸에 앉아서 |
- | + | ++++임께서 부르시면 | |
- | 산으로 가는 마음 | + | ++++백목련을 꺽던 밤 |< |
- | + | ++++산 산 산 |< | |
- | 지도 | + | ++++들길에 서서 |
- | + | ++++작은 짐승 | |
- | 고운 심장 | + | |
- | + | ||
- | 어느 지류에 서서 | + | |
- | + | ||
- | 망향의 노래 | + | |
- | + | ||
- | 오후의 명상 | + | |
- | + | ||
- | 나뭇등걸에 앉아서 | + | |
- | + | ||
- | 임께서 부르시면 | + | |
- | + | ||
- | 백목련을 꺽던 밤 | + | |
- | + | ||
- | 산 산 산 | + | |
- | + | ||
- | 들길에 서서 | + | |
- | + | ||
- | 작은 짐승 | + | |
====양운한(楊雲閒)(1907∼1977)==== | ====양운한(楊雲閒)(1907∼1977)==== | ||
- | 소라 | ||
+ | ++++소라 |< | ||
====김해강(金海剛)(1903~1984)==== | ====김해강(金海剛)(1903~1984)==== | ||
- | 가던 길 멈추고 | + | ++++가던 길 멈추고 |
- | + | ++++출범(出帆)의 노래 | |
- | 출범(出帆)의 노래 | + | ++++산상고창(山上高唱) |
- | + | ||
- | 산상고창(山上高唱) | + | |
====김태오(金泰午)(1903~1975)==== | ====김태오(金泰午)(1903~1975)==== | ||
- | 전원풍경 | + | ++++전원풍경 |
====유창선(劉昌宣)(1907~? | ====유창선(劉昌宣)(1907~? | ||
- | 보석장수의 옛이야기를 | + | |
+ | ++++보석장수의 옛이야기를 | ||
====이경순(李敬純)(1905~1985)==== | ====이경순(李敬純)(1905~1985)==== | ||
- | 애내강변(哀乃江邊) | ||
- | |||
- | 구름은 흐르고 뻐꾸기는 우는데 | ||
- | 인간적 | + | ++++애내강변(哀乃江邊) |< |
+ | ++++구름은 흐르고 뻐꾸기는 우는데 |< | ||
+ | ++++인간적 | ||
====조종현(趙宗玄)(1906~1989)==== | ====조종현(趙宗玄)(1906~1989)==== | ||
- | 나도 푯말이 되어 살고 싶다 | ||
- | 의상대 해돋이 | + | ++++나도 푯말이 되어 살고 싶다 |< |
+ | ++++의상대 해돋이 | ||
====이희승(李熙昇)(1896~1989)==== | ====이희승(李熙昇)(1896~1989)==== | ||
- | 추삼제(秋三題) | ||
- | 망향탄(望鄕歎) | + | ++++추삼제(秋三題) |< |
+ | ++++망향탄(望鄕歎) | ||
====김용제(金龍濟)(1909~1994)==== | ====김용제(金龍濟)(1909~1994)==== | ||
- | 슬픈 과실 | ||
- | |||
- | 굴뚝 | ||
- | |||
- | 태양 찬(讚) | ||
+ | ++++슬픈 과실 |< | ||
+ | ++++굴뚝 |< | ||
+ | ++++태양 찬(讚) |< | ||
====이병각(李秉珏)(1911~1941)==== | ====이병각(李秉珏)(1911~1941)==== | ||
- | 연모(戀慕) | + | ++++연모(戀慕) |
====신석초(申石艸)(1909~1975)==== | ====신석초(申石艸)(1909~1975)==== | ||
- | 고풍(古風) | ||
- | 기림 | + | ++++고풍(古風) |< |
- | + | ++++기림|< | |
- | 추방된 주피터 | + | ++++추방된 주피터 |
- | + | ++++금붕어 | |
- | 금붕어 | + | ++++유리창과 마음 |
- | + | ++++바다와 나비 | |
- | 유리창과 마음 | + | ++++기상도 |
- | + | ++++기원 | |
- | 바다와 나비 | + | ++++굴뚝 |
- | + | ++++스케이팅 | |
- | 기상도 | + | ++++바다 |
- | + | ++++연도(連禱) | |
- | 기원 | + | ++++우리들의 팔월로 돌아가자 |
- | + | ||
- | 굴뚝 | + | |
- | + | ||
- | 스케이팅 | + | |
- | + | ||
- | 바다 | + | |
- | + | ||
- | 연도(連禱) | + | |
- | + | ||
- | 우리들의 팔월로 돌아가자 | + | |
====모윤숙(毛允淑)(1910~1990)==== | ====모윤숙(毛允淑)(1910~1990)==== | ||
- | 기다림 | ||
- | 이 생명을 | + | ++++기다림 |< |
- | + | ++++이 생명을 | |
- | 묵도 | + | ++++묵도 |
- | + | ++++어머니의 기도 | |
- | 어머니의 기도 | + |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
- | + | ++++문을 여소서 | |
- |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 + | ++++나의 별 |< |
- | + | ++++샘가에 앉아 | |
- | 문을 여소서 | + | ++++밤 호수 |
- | + | ++++하수(河水)로 간다 | |
- | 나의 별 | + | |
- | + | ||
- | 샘가에 앉아 | + | |
- | + | ||
- | 밤 호수 | + | |
- | + | ||
- | 하수(河水)로 간다 | + | |
====노천명(盧天命)(1912~1957)==== | ====노천명(盧天命)(1912~1957)==== | ||
- | 길 | ||
- | 푸른 5월 | + | ++++길 |< |
- | + | ++++푸른 5월 |< | |
- | 황마차(幌馬車) | + | ++++황마차(幌馬車) |
- | + | ++++남사당(南寺黨) | |
- | 남사당(南寺黨) | + | ++++사슴 |
- | + | ++++고향 | |
- | 사슴 | + | ++++장날 |
- | + | ++++고독 | |
- | 고향 | + | ++++고별 |
- | + |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 |
- | 장날 | + | ++++별을 쳐다보며 |
- | + | ||
- | 고독 | + | |
- | + | ||
- | 고별 | + | |
- | + | ||
- |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 + | |
- | + | ||
- | 별을 쳐다보며 | + | |
====윤곤강(尹崑崗)(1911~1950)==== | ====윤곤강(尹崑崗)(1911~1950)==== | ||
- | 바다에서 | ||
- | |||
- | 밤차 | ||
- | |||
- | 변해(辨解) | ||
- | |||
- | 원숭이 | ||
- | |||
- | 야경(夜景) | ||
- | |||
- | 언덕 | ||
- | |||
- | 우리의 노래 | ||
- | |||
- | 인경 | ||
- | |||
- | 나비 | ||
- | |||
- | 아지랑이 | ||
- | |||
- | 세월 | ||
- | 단사(丹蛇) | + | ++++바다에서 |< |
+ | ++++밤차 |< | ||
+ | ++++변해(辨解) |< | ||
+ | ++++원숭이 |< | ||
+ | ++++야경(夜景) |< | ||
+ | ++++언덕 |< | ||
+ | ++++우리의 노래 |< | ||
+ | ++++인경|< | ||
+ | ++++나비 |< | ||
+ | ++++아지랑이 |< | ||
+ | ++++세월 |< | ||
+ | ++++단사(丹蛇) | ||
====이상(李箱)(1910~1937)==== | ====이상(李箱)(1910~1937)==== | ||
- | 오감도(烏瞰圖) | ||
- | 선에 관한 각서(3) | + | ++++오감도(烏瞰圖) |< |
- | + | ++++선에 관한 각서(3) | |
- | 거울 | + | ++++거울 |
- | + | ++++아침 | |
- | 아침 | + | ++++명경(明鏡) |
- | + | ++++이런 시 |< | |
- | 명경(明鏡) | + | ++++화로 |
- | + | ++++청령(청령) | |
- | 이런 시 | + | ++++소영위제(素榮爲題) |
- | + | ++++파첩(破帖) | |
- | 화로 | + | ++++절벽 |
- | + | ++++정식(正式)(4) | |
- | 청령(청령) | + | ++++꽃나무 |
- | + | ++++가정 | |
- | 소영위제(素榮爲題) | + | |
- | + | ||
- | 파첩(破帖) | + | |
- | + | ||
- | 절벽 | + | |
- | + | ||
- | 정식(正式)(4) | + | |
- | + | ||
- | 꽃나무 | + | |
- | + | ||
- | 가정 | + | |
====정훈(丁薰)(1911~1992)==== | ====정훈(丁薰)(1911~1992)==== | ||
- | 머얼리 | ||
- | 동백 | + | ++++머얼리 |< |
- | + | ++++동백 | |
- | 머들령 | + | ++++머들령 |
====박재륜(朴載崙)(1910~2001)==== | ====박재륜(朴載崙)(1910~2001)==== | ||
- | 연심(戀心) | ||
- | 메마른 언어 | + | ++++연심(戀心) |< |
- | + | ++++메마른 언어 | |
- | 천상(川上)에 서서 | + | ++++천상(川上)에 서서 |
====장서언(張瑞彦)(1912~1979)==== | ====장서언(張瑞彦)(1912~1979)==== | ||
- | 이발사의 봄 | ||
- | 고화병(古花甁) | + | ++++이발사의 봄 |< |
- | + | ++++고화병(古花甁) | |
- | 밤 | + | ++++밤 |< |
- | + | ++++나무 1 |< | |
- | 나무 1 | + | |
====김용호(金容浩)(1912~1973)==== | ====김용호(金容浩)(1912~1973)==== | ||
- | 눈 오는 밤에 | ||
- | 5월의 유혹 | + | ++++눈 오는 밤에 |< |
- | + | ++++5월의 유혹 | |
- | 5월이 오면 | + | ++++5월이 오면 |
- | + | ++++가을의 동화(童話) | |
- | 가을의 동화(童話) | + | ++++고개 |
- | + | ++++경사진 일요일에 | |
- | 고개 | + | ++++초원에서 |
- | + | ++++한상보(寒想譜) | |
- | 경사진 일요일에 | + | ++++시가, 시가 되지 않는다 |
- | + | ||
- | 초원에서 | + | |
- | + | ||
- | 한상보(寒想譜) | + | |
- | + | ||
- | 시가, 시가 되지 않는다 | + | |
====백석(白石)(1912~1995)==== | ====백석(白石)(1912~1995)==== | ||
- | 여우난 곬족(族) | ||
- | |||
- | 흰 밤 | ||
- | |||
- | 청시(靑枾) | ||
- | |||
- | 적경(寂景) | ||
- | |||
- | 여승(女僧) | ||
- | |||
- | 주막 | ||
- | |||
- | 모닥불 | ||
- | |||
- | 수박씨, 호박씨 | ||
- | |||
- | 비 | ||
- | |||
- | 노루 | ||
- | |||
- | 여우난 곬 | ||
- | 산(山)비 | + | ++++여우난 곬족(族) |< |
+ | ++++흰 밤 |< | ||
+ | ++++청시(靑枾) |< | ||
+ | ++++적경(寂景) |< | ||
+ | ++++여승(女僧) |< | ||
+ | ++++주막 |< | ||
+ | ++++모닥불 |< | ||
+ | ++++수박씨, | ||
+ | ++++비 |< | ||
+ | ++++노루 |< | ||
+ | ++++여우난 곬 |< | ||
+ | ++++산(山)비 | ||
====김광균(金光均)(1914~1993)==== | ====김광균(金光均)(1914~1993)==== | ||
- | 설야(雪夜) | ||
- | 외인촌 | + | ++++설야(雪夜) |< |
- | + | ++++외인촌 | |
- | 추일(秋日)서정 | + | ++++추일(秋日)서정 |
- | + | ++++데상 | |
- | 데상 | + | |
====김현승(金顯承)(1913~1975)==== | ====김현승(金顯承)(1913~1975)==== | ||
- | 눈물 | ||
- | 플라타너스 | + | ++++눈물 |< |
- | + | ++++플라타너스 | |
- | 내 마음은 마른 나뭇가지 | + | ++++내 마음은 마른 나뭇가지 |
- | + | ++++자화상 | |
- | 자화상 | + | ++++고독 |
- | + | ++++옹호자의 노래 | |
- | 고독 | + | ++++슬픔 |
- | + | ++++독신자 | |
- | 옹호자의 노래 | + | ++++견고한 고독 |
- | + | ++++창 |< | |
- | 슬픔 | + | ++++가을의 기도 |
- | + | ++++파도 | |
- | 독신자 | + | ++++오월의 그늘 |
- | + | ++++절대 고독 | |
- | 견고한 고독 | + | ++++고독의 끝 |< |
- | + | ||
- | 창 | + | |
- | + | ||
- | 가을의 기도 | + | |
- | + | ||
- | 파도 | + | |
- | + | ||
- | 오월의 그늘 | + | |
- | + | ||
- | 절대 고독 | + | |
- | + | ||
- | 고독의 끝 | + | |
====함윤수(咸允洙)(1916~1984)==== | ====함윤수(咸允洙)(1916~1984)==== | ||
- | 수선화 | ||
- | 낙엽 | + | ++++수선화 |< |
+ | ++++낙엽 | ||
====장만영(張萬榮) (1914~1975)==== | ====장만영(張萬榮) (1914~1975)==== | ||
- | 달·포도·잎사귀 | ||
- | 조그만 동네 | + | ++++달·포도·잎사귀 |< |
- | + | ++++조그만 동네 | |
- | 비 | + | ++++비 |< |
- | + | ++++비의 image |< | |
- | 비의 image | + | ++++소쩍새 |
- | + | ++++길손 | |
- | 소쩍새 | + | |
- | + | ||
- | 길손 | + | |
=====생명파와 자연시의 경향===== | =====생명파와 자연시의 경향===== | ||
====심훈(沈熏) (1901~1936)==== | ====심훈(沈熏) (1901~1936)==== | ||
- | 조선은 술을 먹인다 | ||
- | |||
- | 뻐꾹새가 운다 | ||
- | |||
- | 그날이 오면 | ||
- | |||
- | 밤 | ||
- | 오오, 조선의 남아야! | + | ++++조선은 술을 먹인다 |< |
+ | ++++뻐꾹새가 운다 |< | ||
+ | ++++그날이 오면 |< | ||
+ | ++++밤 |< | ||
+ | ++++오오, 조선의 남아야! | ||
====이육사(李陸史)(1904~1944)==== | ====이육사(李陸史)(1904~1944)==== | ||
- | 청포도 | ||
- | 절정 | + | ++++청포도 |< |
- | + | ++++절정 | |
- | 광야 | + | ++++광야 |
- | + | ++++일식 | |
- | 일식 | + | ++++황혼 |
- | + | ++++자야곡(子夜曲) | |
- | 황혼 | + | ++++호수 |
- | + | ++++꽃 |< | |
- | 자야곡(子夜曲) | + | ++++연보(年譜) |
- | + | ++++노정기(路程記) | |
- | 호수 | + | ++++파초 |
- | + | ++++독백 | |
- | 꽃 | + | ++++나의 뮤즈 |
- | + | ++++호수 | |
- | 연보(年譜) | + | |
- | + | ||
- | 노정기(路程記) | + | |
- | + | ||
- | 파초 | + | |
- | + | ||
- | 독백 | + | |
- | + | ||
- | 나의 뮤즈 | + | |
- | + | ||
- | 호수 | + | |
====김달진(金達鎭)(1907~1989)==== | ====김달진(金達鎭)(1907~1989)==== | ||
- | 체념 | ||
- | 단장(斷章) | + | ++++체념 |< |
- | + | ++++단장(斷章) | |
- | 황혼 | + | ++++황혼 |
- | + | ++++임의 모습 | |
- | 임의 모습 | + | |
====유치환(柳致環)(1908~1967)==== | ====유치환(柳致環)(1908~1967)==== | ||
- | 깃발 | ||
- | 행복 | + | ++++깃발 |< |
- | + | ++++행복 | |
- | 그리움 | + | ++++그리움 |
- | + | ++++그리움 | |
- | 그리움 | + | ++++생명의 서 |< |
- | + | ++++바위 | |
- | 생명의 서 | + | |
- | + | ||
- | 바위 | + | |
====이설주(李雪舟)(1908~2001)==== | ====이설주(李雪舟)(1908~2001)==== | ||
- | 어느 날 | ||
- | 여로 | + | ++++어느 날 |< |
- | + | ++++여로 | |
- | 철쭉꽃 | + | ++++철쭉꽃 |
====이호우(李鎬雨)(1912~1970)==== | ====이호우(李鎬雨)(1912~1970)==== | ||
- | 낙엽 | ||
- | 모강(慕江) | + | ++++낙엽 |< |
- | + | ++++모강(慕江) | |
- | 개화(開花) | + | ++++개화(開花) |
- | + | ++++난(蘭) | |
- | 난(蘭) | + | ++++묘비명(墓碑銘) |
- | + | ++++균열(龜裂) | |
- | 묘비명(墓碑銘) | + | ++++휴화산(休火山) |
- | + | ++++살구꽃 핀 마을 | |
- | 균열(龜裂) | + | ++++오(午) |
- | + | ++++산길에서 | |
- | 휴화산(休火山) | + | ++++초원(草原) |
- | + | ++++달밤 | |
- | 살구꽃 핀 마을 | + | ++++삼팔선 |
- | + | ||
- | 오(午) | + | |
- | + | ||
- | 산길에서 | + | |
- | + | ||
- | 초원(草原) | + | |
- | + | ||
- | 달밤 | + | |
- | + | ||
- | 삼팔선 | + | |
====윤영춘(尹永春)(1912~1978)==== | ====윤영춘(尹永春)(1912~1978)==== | ||
- | 조충혼(弔忠魂) | ||
- | |||
- | 해란강(海蘭江) | ||
- | |||
- | 십자가 | ||
- | |||
- | 상원 | ||
- | |||
- | 백로 | ||
- | |||
- | 가을 밤 | ||
- | |||
- | 수돈 | ||
- | |||
- | 실내악 | ||
- | |||
- | 소연가(召燕歌) | ||
- | 고향 | + | ++++조충혼(弔忠魂) |< |
+ | ++++해란강(海蘭江) |< | ||
+ | ++++십자가 |< | ||
+ | ++++상원|< | ||
+ | ++++백로 |< | ||
+ | ++++가을 밤 |< | ||
+ | ++++수돈|< | ||
+ | ++++실내악 |< | ||
+ | ++++소연가(召燕歌) |< | ||
+ | ++++고향 | ||
====서정주(徐廷柱)(1915~2000)==== | ====서정주(徐廷柱)(1915~2000)==== | ||
- | 화사(花蛇) | ||
- | |||
- | 문둥이 | ||
- | |||
- | 국화옆에서 | ||
- | |||
- | 춘향유문(春香遺文) | ||
- | |||
- | 꽃밭의 독백 | ||
- | |||
- | 동천(冬天) | ||
+ | ++++화사(花蛇) |< | ||
+ | ++++문둥이 |< | ||
+ | ++++국화옆에서 |< | ||
+ | ++++춘향유문(春香遺文) |< | ||
+ | ++++꽃밭의 독백 |< | ||
+ | ++++동천(冬天)|< | ||
====함형수(咸亨洙)(1916~1946)==== | ====함형수(咸亨洙)(1916~1946)==== | ||
- |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 ||
- | 마음의 촛불 | + |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 |
+ | ++++마음의 촛불|< | ||
====김종한(金鍾漢)(1916~1944)==== | ====김종한(金鍾漢)(1916~1944)==== | ||
- | 그늘 | ||
- |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 | + | ++++그늘 |< |
- | + |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 | |
- | 귀로 | + | ++++귀로 |
- | + | ++++고원(故園)의 시 |< | |
- | 고원(故園)의 시 | + | ++++살구꽃처럼 |
- | + | ||
- | 살구꽃처럼 | + | |
====윤동주(尹東柱)(1917~1945)==== | ====윤동주(尹東柱)(1917~1945)==== | ||
- | 서시(序詩) | ||
- | 자화상 | + | ++++서시(序詩) |< |
+ | ++++자화상 | ||
+ | ++++십자가 |< | ||
+ | ++++무서운 시간 |< | ||
+ | ++++별 헤는 밤 |< | ||
+ | ++++또 태초의 아침 |< | ||
+ | ++++위로 |< | ||
+ | ++++새벽이 올 때까지 |< | ||
+ | ++++쉽게 씌어진 시 |< | ||
+ | ++++병원 |< | ||
+ | ++++길 |< | ||
+ | ++++삶과 죽음 |< | ||
+ | ++++슬픈 족속 |< | ||
+ | ++++못 자는 밤 |< | ||
+ | ++++봄 |< | ||
+ | ++++또 다른 고향 |< | ||
+ | ++++팔복(八福) |< | ||
+ | ++++참회록 |< | ||
+ | ++++간(肝) |< | ||
+ | ++++바람이 불어 |< | ||
+ | ++++소년 |< | ||
+ | ++++흐르는 거리|< | ||
- | 십자가 | ||
- | |||
- | 무서운 시간 | ||
- | |||
- | 별 헤는 밤 | ||
- | |||
- | 또 태초의 아침 | ||
- | |||
- | 위로 | ||
- | |||
- | 새벽이 올 때까지 | ||
- | |||
- | 쉽게 씌어진 시 | ||
- | |||
- | 병원 | ||
- | |||
- | 길 | ||
- | |||
- | 삶과 죽음 | ||
- | |||
- | 슬픈 족속 | ||
- | |||
- | 못 자는 밤 | ||
- | |||
- | 봄 | ||
- | |||
- | 또 다른 고향 | ||
- | |||
- | 팔복(八福) | ||
- | |||
- | 참회록 | ||
- | |||
- | 간(肝) | ||
- | |||
- | 바람이 불어 | ||
- | |||
- | 소년 | ||
- | |||
- | 흐르는 거리 | ||
- | |||
====박남수(朴南秀)(1918~1994)==== | ====박남수(朴南秀)(1918~1994)==== | ||
- | 아침 이미지 | ||
- | 종달새 | + | ++++아침 이미지 |< |
- | + | ++++종달새 | |
- | 초롱불 | + | ++++초롱불 |
- | + | ++++오수(午睡) | |
- | 오수(午睡) | + | ++++마을 |
- | + | ++++심야(深夜) | |
- | 마을 | + | ++++소품 3제 |< |
- | + | ++++신의 쓰레기 | |
- | 심야(深夜) | + | ++++손 |< |
- | + | ++++새 |< | |
- | 소품 3제 | + | ++++종소리 |
- | + | ++++할머니 꽃씨를 받으신다 | |
- | 신의 쓰레기 | + | |
- | + | ||
- | 손 | + | |
- | + | ||
- | 새 | + | |
- | + | ||
- | 종소리 | + | |
- | + | ||
- | 할머니 꽃씨를 받으신다 | + | |
====김상옥(金相沃)(1920~2004)==== | ====김상옥(金相沃)(1920~2004)==== | ||
- | 봉선화 | ||
- | |||
- | 백자부(白磁賦) | ||
- | |||
- | 사향(思鄕) | ||
- | |||
- | 다도해 | ||
- | |||
- | 다보탑 | ||
- | |||
- | | ||
- | 풍장(風葬) | ||
- | 동양의 산 | + | ++++봉선화 |< |
+ | ++++백자부(白磁賦) |< | ||
+ | ++++사향(思鄕) |< | ||
+ | ++++다도해 |< | ||
+ | ++++다보탑|< | ||
- | 온실 | + | ====이한직(李漢稷)(1921~1976)==== |
- | 낙타 | + | ++++풍장(風葬) |< |
+ | ++++동양의 산 |< | ||
+ | ++++온실 |< | ||
+ | ++++낙타|< | ||
====조지훈(趙芝薰)(1920~1968)==== | ====조지훈(趙芝薰)(1920~1968)==== | ||
- | 승무(僧舞) | ||
- | 고풍 의상(古風衣裳) | + | ++++승무(僧舞) |< |
- | + | ++++고풍 의상(古風衣裳) | |
- | 완화삼(玩花衫) | + | ++++완화삼(玩花衫) |
====박목월(朴木月)(1916~1978)==== | ====박목월(朴木月)(1916~1978)==== | ||
- | 나그네 | ||
- | |||
- | 청노루 | ||
- | |||
- | 윤사월 | ||
- | |||
- | 산도화 | ||
+ | ++++나그네 |< | ||
+ | ++++청노루 |< | ||
+ | ++++윤사월 |< | ||
+ | ++++산도화 |< | ||
====박두진(朴斗鎭)(1916~1998)==== | ====박두진(朴斗鎭)(1916~1998)==== | ||
- | 도봉(道峯) | + | ++++도봉(道峯) |
- | + | ++++설악부(雪岳賦) | |
- | 설악부(雪岳賦) | + | ++++꽃 |< |
- | + | ++++해|< | |
- | 꽃 | + | |
- | + | ||
- | 해 | + | |
=====광복과 50년===== | =====광복과 50년===== | ||
====조향(趙鄕)(1917~1985)==== | ====조향(趙鄕)(1917~1985)==== | ||
- | Episode | ||
- | 바다의 층계 | + | ++++Episode |< |
+ | ++++바다의 층계 | ||
====최재형(崔載亨)(1917~2011)==== | ====최재형(崔載亨)(1917~2011)==== | ||
- | 양지 | ||
- | 기원 | + | ++++양지 |< |
- | + | ++++기원|< | |
- | 유언(遺言) | + | ++++유언(遺言) |
====양명문(楊明文)(1913~1985)==== | ====양명문(楊明文)(1913~1985)==== | ||
- | 어머니 | ||
- | 은행나무 산조(散調) | + | ++++어머니 |< |
- | + | ++++은행나무 산조(散調) | |
- | 송가(頌歌) | + | ++++송가(頌歌) |
====이영도(李永道)(1916~1976)==== | ====이영도(李永道)(1916~1976)==== | ||
- | 아지랑이 | ||
- | |||
- | 황혼에 서서 | ||
- | |||
- | 달무리 | ||
- | |||
- | 단풍 | ||
- | 추청(秋晴)을 간다(磨) | + | ++++아지랑이 |< |
+ | ++++황혼에 서서 |< | ||
+ | ++++달무리 |< | ||
+ | ++++단풍 |< | ||
+ | ++++추청(秋晴)을 간다(磨) | ||
====이상로(李相魯)(1916~1973)==== | ====이상로(李相魯)(1916~1973)==== | ||
- | 내일 | ||
- | 예레미야 | + | ++++내일 |< |
- | + | ++++예레미야 | |
- | 대인초(待人抄) | + | ++++대인초(待人抄) |
- | + | ++++하늘을 우러르면 | |
- | 하늘을 우러르면 | + | |
====장수철(張壽哲)(1916~1993)==== | ====장수철(張壽哲)(1916~1993)==== | ||
- | 모색 | ||
- | 비 오는 날 | + | ++++모색 |< |
+ | ++++비 오는 날 |< | ||
====임인수(林仁洙)(1919∼1967)==== | ====임인수(林仁洙)(1919∼1967)==== | ||
- | 성야초(聖夜抄) | ||
- | 베다니 서정 | + | ++++성야초(聖夜抄) |< |
- | + | ++++베다니 서정 | |
- | 겟세마네 | + | ++++겟세마네 |
- | + | ++++엠마오 도상(途上) | |
- | 엠마오 도상(途上) | + | |
====구상(具常)(1919~2004)==== | ====구상(具常)(1919~2004)==== | ||
- | 초토(焦土)의 시(초) | ||
- | 강(초) | + | ++++초토(焦土)의 시(초) |< |
+ | ++++강(초) | ||
====김경린(金璟麟)(1918~2006)==== | ====김경린(金璟麟)(1918~2006)==== | ||
- | 국제 열차는 타자기처럼 | + | |
+ | ++++국제 열차는 타자기처럼 | ||
====박훈산(朴薰山)(1919~1985)==== | ====박훈산(朴薰山)(1919~1985)==== | ||
- | 억압된 상황 | ||
- | 홀로 거리를 지나며 | + | ++++억압된 상황 |< |
+ | ++++홀로 거리를 지나며 | ||
====유정(柳呈)(1922∼ )==== | ====유정(柳呈)(1922∼ )==== | ||
- | 가는 봄 | ||
- | 램프의 시 | + | ++++가는 봄 |< |
+ | ++++램프의 시 |< | ||
====이동주(李東柱)(1920~1979)==== | ====이동주(李東柱)(1920~1979)==== | ||
- | 새댁 | ||
- | 해녀 | + | ++++새댁 |< |
- | + | ++++해녀 | |
- | 강강술래 | + | ++++강강술래 |
- | + | ++++혼야(婚夜) | |
- | 혼야(婚夜) | + | |
====김태홍(金泰洪)(1925~1985)==== | ====김태홍(金泰洪)(1925~1985)==== | ||
- | 당신이 빛을 | ||
- | 시집을 갔다 | + | ++++당신이 빛을 |< |
- | + | ++++시집을 갔다 | |
- | 산사(山寺)에는 | + | ++++산사(山寺)에는 |
====박인환(朴寅煥)(1926 ~ 1956)==== | ====박인환(朴寅煥)(1926 ~ 1956)==== | ||
- | 목마(木馬)와 숙녀 | ||
- | 세월이 가면 | + | ++++목마(木馬)와 숙녀 |< |
- | + | ++++세월이 가면 | |
- | 검은 강 | + | ++++검은 강 |< |
- | + | ++++검은 신이여 | |
- | 검은 신이여 | + | |
====조병화(趙炳華)(1921~2003)==== | ====조병화(趙炳華)(1921~2003)==== | ||
- | 샘터 | ||
- | 소라 | + | ++++샘터 |< |
+ | ++++소라 | ||
+ | ++++추억 |< | ||
+ | ++++의자 |< | ||
+ | ++++하루만의 위안 |< | ||
+ | ++++오산(烏山) 인터체인지 |< | ||
- | 추억 | + | ====박태진(朴泰鎭)(1921~2006)==== |
- | 의자 | + | ++++석간(夕刊) |< |
- | 하루만의 위안 | + | ====설창수(薛昌洙)(1912~1998)==== |
- | 오산(烏山) 인터체인지 | + | ++++동해에 뜨는 해 |< |
- | + | ||
- | ====박태진(朴泰鎭)(1921~2006)==== | + | |
- | 석간(夕刊) | + | |
- | + | ||
- | ====설창수(薛昌洙)(1912~1998)==== | + | |
- | 동해에 뜨는 해 | + | |
====박화목(朴和穆)(1924~)==== | ====박화목(朴和穆)(1924~)==== | ||
- | 노와 나의 애가 | ||
- | 호접(蝴蝶) | + | ++++노와 나의 애가 |< |
- | + | ++++호접(蝴蝶) | |
- | 아기의 탄생 | + | ++++아기의 탄생 |
- | + | ++++부활 | |
- | 부활 | + | |
====이원섭(李元燮)(1924~2007)==== | ====이원섭(李元燮)(1924~2007)==== | ||
- | 향미사(響尾蛇) | ||
- | 기산부(箕山賦) | + | ++++향미사(響尾蛇) |< |
- | + | ++++기산부(箕山賦) | |
- | 죽림도(竹林圖) | + | ++++죽림도(竹林圖) |
====박거영(朴巨影)(1916~)==== | ====박거영(朴巨影)(1916~)==== | ||
- | 바다여 너는 강자(强者) | + | |
+ | ++++바다여 너는 강자(强者) | ||
====이인석(李仁石)(1917~1979)==== | ====이인석(李仁石)(1917~1979)==== | ||
- | 하늘은 금가지 않았다 | + | |
+ | ++++하늘은 금가지 않았다 | ||
====박양균(朴暘均)(1924~1990)==== | ====박양균(朴暘均)(1924~1990)==== | ||
- | 꽃 | + | |
+ | ++++꽃 |< | ||
====구경서(具慶書)(1921~)==== | ====구경서(具慶書)(1921~)==== | ||
- | 정물(靜物) | + | |
+ | ++++정물(靜物) | ||
====김종문(金宗文)(1919~1981)==== | ====김종문(金宗文)(1919~1981)==== | ||
- | 사보텐 | ||
- | 실망기 | + | ++++사보텐 |< |
- | + | ++++실망기 | |
- | 불안한 토요일 | + | ++++불안한 토요일 |
- | + | ++++자화상 | |
- | 자화상 | + | |
====김윤성(金潤成)(1925~)==== | ====김윤성(金潤成)(1925~)==== | ||
- | 실내 | ||
- | 나무 | + | ++++실내 |< |
- | + | ++++나무 | |
- | 점경 | + | ++++점경 |
====정한모(鄭漢模)(1923~1991)==== | ====정한모(鄭漢模)(1923~1991)==== | ||
- | 멸입(滅入) | ||
- | 가을에 | + | ++++멸입(滅入) |< |
+ | ++++가을에 | ||
+ | ++++눈보라 속에서|< | ||
- | 눈보라 속에서 | ||
- | |||
====김수영(金洙暎)(1921~1968)==== | ====김수영(金洙暎)(1921~1968)==== | ||
- | 푸른 하늘을 | ||
- | 현대식 교량 | + | ++++푸른 하늘을 |< |
- | + | ++++현대식 교량 | |
- | 풀 | + | ++++풀 |< |
- | + | ++++눈 |< | |
- | 눈 | + | ++++폭포 |
- | + | ++++사랑 | |
- | 폭포 | + | ++++절망 |
- | + | ++++적 |< | |
- | 사랑 | + | |
- | + | ||
- | 절망 | + | |
- | + | ||
- | 적 | + | |
====김구용(金丘庸)(1922~2001)==== | ====김구용(金丘庸)(1922~2001)==== | ||
- | 동양의 뜰 | ||
- | 차영 | + | ++++동양의 뜰 |< |
- | + | ++++차영|< | |
- | 기억에의 거리 | + | ++++기억에의 거리 |
====김춘수(金春洙)(1922~2004)==== | ====김춘수(金春洙)(1922~2004)==== | ||
- | 꽃 | ||
- | |||
- |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 ||
- | |||
- | 꽃을 위한 서시(序詩) | ||
- | |||
- | 꽃 | ||
- | |||
- | 규동 | ||
- | 하늘과 태양만이 남아 있는 도시 | + | ++++꽃 |< |
+ |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 | ||
+ | ++++꽃을 위한 서시(序詩) |< | ||
+ | ++++꽃 |< | ||
+ | ++++규동|< | ||
+ | ++++하늘과 태양만이 남아 있는 도시 | ||
====홍윤숙(洪允淑)(1925~)==== | ====홍윤숙(洪允淑)(1925~)==== | ||
- | 여수(旅愁) | ||
- | 낙엽의 노래 | + | ++++여수(旅愁) |< |
+ | ++++낙엽의 노래 | ||
====한하운(韓何雲)(1920~1975)==== | ====한하운(韓何雲)(1920~1975)==== | ||
- | 개구리 | ||
- | 보리피리 | + | ++++개구리 |< |
- | + | ++++보리피리 | |
- | 여인 | + | ++++여인 |
- | + | ++++나 |< | |
- | 나 | + | ++++전라도 길 |< |
- | + | ||
- | 전라도 길 | + | |
====이형기(李炯基)(1933~2005)==== | ====이형기(李炯基)(1933~2005)==== | ||
- | 봄비 | ||
- | 소묘 | + | ++++봄비 |< |
+ | ++++소묘 | ||
+ | ++++산 |< | ||
+ | ++++강가에서 |< | ||
+ | ++++코스모스 |< | ||
+ | ++++낙화 |< | ||
- | 산 | + | ====김영삼(金永三)(1922~ )==== |
- | 강가에서 | + | ++++난소곡(蘭小曲) |
- | + | ||
- | 코스모스 | + | |
- | + | ||
- | 낙화 | + | |
- | + | ||
- | ====김영삼(金永三)(1922~ )==== | + | |
- | 난소곡(蘭小曲) | + | |
====전봉건(全鳳健)(1928~1988)==== | ====전봉건(全鳳健)(1928~1988)==== | ||
- | 4월 | ||
- | 축도(祝禱) | + | ++++4월 |< |
+ | ++++축도(祝禱) | ||
+ | ++++서정 |< | ||
+ | ++++피아노 |< | ||
+ | ++++음악 |< | ||
- | 서정 | + | ====정훈(丁薰)(1911~1992)==== |
- | 피아노 | + | ++++산에서 |
- | + | ||
- | 음악 | + | |
- | + | ||
- | ====정훈(丁薰)(1911~1992)==== | + | |
- | 산에서 | + | |
====이정기(李廷基)(1927~2001)==== | ====이정기(李廷基)(1927~2001)==== | ||
- | 당신이 가신 후 | ||
- | |||
- | 덕진 | ||
- | |||
- | 선인장 | ||
+ | ++++당신이 가신 후 |< | ||
+ | ++++덕진|< | ||
+ | ++++선인장 |< | ||
====임진수(林眞樹)(1926~2001)==== | ====임진수(林眞樹)(1926~2001)==== | ||
- | 눈 속에 들어간 봄 | + | |
+ | ++++눈 속에 들어간 봄 |< | ||
====장호강(張虎崗)(1916~2009)==== | ====장호강(張虎崗)(1916~2009)==== | ||
- | 열도(熱禱) | + | |
+ | ++++열도(熱禱) | ||
====류근주(柳根周)==== | ====류근주(柳根周)==== | ||
- | 독재자 | + | |
+ | ++++독재자 | ||
====이영순(李永純)(1922~1989)==== | ====이영순(李永純)(1922~1989)==== | ||
- | 왕도(王道) | + | |
+ | ++++왕도(王道) | ||
====박종우(朴鍾禹)(1925~1976)==== | ====박종우(朴鍾禹)(1925~1976)==== | ||
- | 종 | + | |
+ | ++++종 |< | ||
====이재철(李在徹)(1931~2011)==== | ====이재철(李在徹)(1931~2011)==== | ||
- | 탁상 시계 | + | |
+ | ++++탁상 시계 | ||
====김용팔(金榕八)(1914~2005)==== | ====김용팔(金榕八)(1914~2005)==== | ||
- | 아지랑이 | + | |
+ | ++++아지랑이 | ||
====박지수(朴智帥)==== | ====박지수(朴智帥)==== | ||
- | 풍경A | + | |
+ | ++++풍경A | ||
====장호강(張虎崗)(1916~2009)==== | ====장호강(張虎崗)(1916~2009)==== | ||
- | 예감 | + | |
+ | ++++예감 | ||
====고원(高遠)(1925~2008)==== | ====고원(高遠)(1925~2008)==== | ||
- | 모나리자의 손 | ||
- | 어느 시간의 대위법 | + | ++++모나리자의 손 |< |
- | + | ++++어느 시간의 대위법 | |
- | 오늘은 멀고 | + | ++++오늘은 멀고 |
====황금찬(黃錦燦)(1918~2018)==== | ====황금찬(黃錦燦)(1918~2018)==== | ||
- | 보내 놓고 | ||
- | 보릿고개 | + | ++++보내 놓고 |< |
+ | ++++보릿고개 | ||
+ | ++++정순이(3) |< | ||
+ | ++++촛불 |< | ||
+ | ++++5월이 오면 |< | ||
+ | ++++낙엽 시초(詩抄) |< | ||
+ | ++++산새 |< | ||
+ | ++++사랑이 자라는 뜰 |< | ||
+ | ++++백마송(白馬|< | ||
+ | ++++아기 예수 |< | ||
+ | ++++종이 우는 아침에 |< | ||
+ | ++++부활의 노래|< | ||
- | 정순이(3) | ||
- | |||
- | 촛불 | ||
- | |||
- | 5월이 오면 | ||
- | |||
- | |||
- | 낙엽 시초(詩抄) | ||
- | |||
- | 산새 | ||
- | |||
- | 사랑이 자라는 뜰 | ||
- | |||
- | 백마송(白馬 | ||
- | |||
- | 아기 예수 | ||
- | |||
- | 종이 우는 아침에 | ||
- | |||
- | 부활의 노래 | ||
- | |||
====김남조(金南祚)(1927~)==== | ====김남조(金南祚)(1927~)==== | ||
- | 겨울 바다 | ||
- | 목숨 | + | ++++겨울 바다 |< |
+ | ++++목숨 | ||
+ | ++++눈의 시 |< | ||
+ | ++++이 바람 속에 |< | ||
+ | ++++임 |< | ||
+ | ++++정념(情念)의 기 |< | ||
+ | ++++가시관과 보혈 |< | ||
+ | ++++신이 사람으로 오시는 |< | ||
+ | ++++막달라 마리아|< | ||
- | 눈의 시 | + | ====한성기(韓性祺)(1923~1984)==== |
- | 이 바람 속에 | + | ++++꽃병 |< |
- | 임 | + | ++++역 |< |
- | + | ||
- | 정념(情念)의 기 | + | |
- | + | ||
- | 가시관과 보혈 | + | |
- | + | ||
- | 신이 사람으로 오시는 | + | |
- | + | ||
- | 막달라 마리아 | + | |
- | + | ||
- | ====한성기(韓性祺)(1923~1984)==== | + | |
- | 꽃병 | + | |
- | + | ||
- | 역 | + | |
=====월북파와 북한시의 경향===== | =====월북파와 북한시의 경향===== | ||
====박세영==== | ====박세영==== | ||
- | 산제비[岩燕] | ||
- | 향수 | + | ++++산제비[岩燕] |< |
- | + | ++++향수 | |
- | 나에게 대답하라 | + | ++++나에게 대답하라 |
- | + | ++++위원회에 가는 길 |< | |
- | 위원회에 가는 길 | + | |
====박팔양==== | ====박팔양==== | ||
- | 진달래 | ||
- | 침묵 | + | ++++진달래 |< |
- | + | ++++침묵 | |
- | 길손 | + | ++++길손 |
- | + | ++++처녀 영웅 | |
- | 처녀 영웅 | + | |
====임화==== | ====임화==== | ||
- | 네거리의 순이 | ||
- | 우리 오빠와 화로 | + | ++++네거리의 순이 |< |
- | + | ++++우리 오빠와 화로 | |
- | 우산 받은 요코하마(橫濱)의 부두 | + | ++++우산 받은 요코하마(橫濱)의 부두 |
- | + | ++++하늘 | |
- | 하늘 | + | ++++통곡 |
- | + | ++++현해탄 | |
- | 통곡 | + | ++++자고 새면 |
- | + | ++++한 잔 포도주를 | |
- | 현해탄 | + | |
- | + | ||
- | 자고 새면 | + | |
- | + | ||
- | 한 잔 포도주를 | + | |
====이찬==== | ====이찬==== | ||
- | 눈 내리는 보성(堡城)의 밤 | ||
- | 달과 딸과 어머니와 | + | ++++눈 내리는 보성(堡城)의 밤 |< |
+ | ++++달과 딸과 어머니와 | ||
====조기천==== | ====조기천==== | ||
- | 흰 바위에 앉아서 | ||
- | |||
- | 큰거리 | ||
- | 백두산 | + | ++++흰 바위에 앉아서 |< |
+ | ++++큰거리 |< | ||
+ | ++++백두산 | ||
====이용악==== | ====이용악==== | ||
- | 낡은 집 | ||
- |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 | + | ++++낡은 집 |< |
+ |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 | ||
+ | ++++전라도 가시내 |< | ||
+ | ++++그리움 |< | ||
+ | ++++하늘만 곱구나 |< | ||
+ | ++++검은 구름이 모여든다 |< | ||
+ | ++++두 강물을 한 곬으로 |< | ||
- | 전라도 가시내 | + | ====민병균==== |
- | 그리움 | + | ++++고향 |
- | + | ||
- | 하늘만 곱구나 | + | |
- | + | ||
- | 검은 구름이 모여든다 | + | |
- | + | ||
- | 두 강물을 한 곬으로 | + | |
- | + | ||
- | ====민병균==== | + | |
- | 고향 | + | |
====김조규==== | ====김조규==== | ||
- | 향수 | ||
- | |||
- | 해안촌(海岸村)의 기억 | ||
- | |||
- | 연길역(延吉驛) 가는 길 | ||
- | |||
- | 물길 | ||
- | |||
- | 눈과 눈 | ||
- | |||
- | 모란봉 | ||
- | |||
- | 귀련 | ||
- | 조국어 | + | ++++향수 |< |
+ | ++++해안촌(海岸村)의 기억 |< | ||
+ | ++++연길역(延吉驛) 가는 길|< | ||
+ | ++++물길 |< | ||
+ | ++++눈과 눈 |< | ||
+ | ++++모란봉 |< | ||
+ | ++++귀련|< | ||
+ | ++++조국어 | ||
====오장환==== | ====오장환==== | ||
- | 신생(新生)의 노래 | ||
- | 고향 앞에서 | + | ++++신생(新生)의 노래 |< |
- | + | ++++고향 앞에서 | |
- | 병든 서울 | + | ++++병든 서울 |
====정문향==== | ====정문향==== | ||
- | 철서구(鐵西區) | ||
- | 푸른 벌로 간다 | + | ++++철서구(鐵西區) |< |
+ | ++++푸른 벌로 간다 | ||
====백인준==== | ====백인준==== | ||
- | 그날 할아버지 | ||
- | 녀인도 | + | ++++그날 할아버지 |< |
+ | ++++녀인도 | ||
====김순석==== | ====김순석==== | ||
- | 귀향 | ||
- | 송아지 | + | ++++귀향 |< |
+ | ++++송아지 | ||
+ | ++++우철|< | ||
+ | ++++농촌위원회의 밤 |< | ||
- | 우철 | + | ====정렬==== |
- | 농촌위원회의 밤 | + | ++++항해길은 사납다 |< |
- | ====정렬==== | + | ====김상오==== |
- | 항해길은 사납다 | + | |
- | ====김상오==== | + | ++++산 |< |
- | 산 | + | |
====로승모==== | ====로승모==== | ||
- | 전변(轉變) | + | |
+ | ++++전변(轉變) | ||
====윤병규==== | ====윤병규==== | ||
- | 그대 곁에 우리 곁에 | + | |
+ | ++++그대 곁에 우리 곁에 | ||
=====동란 후와 60년대 시의 경향===== | =====동란 후와 60년대 시의 경향===== | ||
====천상병==== | ====천상병==== | ||
- | 그날은 | ||
- | 강물 | + | ++++그날은 |< |
- | + | ++++강물 | |
- | 귀천(歸天) | + | ++++귀천(歸天) |
====정기환==== | ====정기환==== | ||
- | 기도 | + | |
+ | ++++기도 | ||
====김경수==== | ====김경수==== | ||
- | 고독 | ||
- | 길 | + | ++++고독 |< |
- | + | ++++길 |< | |
- | 문들의 영가 | + | ++++문들의 영가 |
- | + | ++++나의 천국은 미소 | |
- | 나의 천국은 미소 | + | |
====이활==== | ====이활==== | ||
- | 낙서가 된 앗시리아의 벽화 | + | |
+ | ++++낙서가 된 앗시리아의 벽화 | ||
====김요섭==== | ====김요섭==== | ||
- | 옛날 | ||
- | 음악 | + | ++++옛날 |< |
+ | ++++음악 | ||
====이철균==== | ====이철균==== | ||
- | 한낮에 | + | |
+ | ++++한낮에 | ||
====리태극==== | ====리태극==== | ||
- | 삼월은 | ||
- | 낙조(落照) | + | ++++삼월은 |< |
+ | ++++낙조(落照) | ||
====이수복==== | ====이수복==== | ||
- | 봄비 | + | |
+ | ++++봄비 | ||
====신동집==== | ====신동집==== | ||
- | 눈 | ||
- | |||
- | 목숨 | ||
- | |||
- | 오렌지 | ||
- | |||
- | 어떤 사람 | ||
- | 표정 | + | ++++눈 |< |
+ | ++++목숨 |< | ||
+ | ++++오렌지 |< | ||
+ | ++++어떤 사람 |< | ||
+ | ++++표정 | ||
====박용래==== | ====박용래==== | ||
- | 저녁 눈 | ||
- | 월훈(月暈) | + | ++++저녁 눈 |< |
+ | ++++월훈(月暈) | ||
====이석==== | ====이석==== | ||
- | 봄길 | + | |
+ | ++++봄길 | ||
====윤일주==== | ====윤일주==== | ||
- | 낮잠 | ||
- | 가을 밤 | + | ++++낮잠 |< |
- | + | ++++가을 밤 |< | |
- | 민들레 피리 | + | ++++민들레 피리 |
====조남두==== | ====조남두==== | ||
- | 낙엽(1) | + | |
+ | ++++낙엽(1) | ||
====전영경==== | ====전영경==== | ||
- | 소녀는 배가 불룩했습니다 | ||
- | ====석용원==== | + | ++++소녀는 배가 불룩했습니다 |< |
- | 독이(毒) | + | |
- | 광야에서 | + | ====석용원==== |
- | 서시(序詩) | + | ++++독이(毒) |< |
+ | ++++광야에서 |< | ||
+ | ++++서시(序詩) | ||
====박희진==== | ====박희진==== | ||
- | 항아리 | ||
- | 관세음상에게 | + | ++++항아리 |< |
+ | ++++관세음상에게 | ||
====김원태==== | ====김원태==== | ||
- | 휴전선에서 | + | |
+ | ++++휴전선에서 | ||
====박성룡==== | ====박성룡==== | ||
- | 과목(果木) | ||
- | 풀잎 | + | ++++과목(果木) |< |
+ | ++++풀잎 | ||
====이추림==== | ====이추림==== | ||
- | 조선 호랑이 | ||
- | 바람처럼 | + | ++++조선 호랑이 |< |
+ | ++++바람처럼 | ||
====김관식==== | ====김관식==== | ||
- | 거산호(居山好) | ||
- | 옹손지(饔손志) | + | ++++거산호(居山好) |< |
- | + | ++++옹손지(饔손志) | |
- | 호피(虎皮) 위에서 | + | ++++호피(虎皮) 위에서 |
====공중인==== | ====공중인==== | ||
- | 나무 | ||
- | 설야(雪夜)의 장(章) | + | ++++나무 |< |
+ | ++++설야(雪夜)의 장(章) | ||
====김상억==== | ====김상억==== | ||
- | 성터에서 | + | |
+ | ++++성터에서 | ||
====구자운==== | ====구자운==== | ||
- | 청자 수병(靑磁水甁) | ||
- | 바다로부터 오다 | + | ++++청자 수병(靑磁水甁)|< |
+ | ++++바다로부터 오다 | ||
====박정온==== | ====박정온==== | ||
- | 차에서 | + | |
+ | ++++차에서 | ||
====신동문==== | ====신동문==== | ||
- | 우산 | + | |
+ | ++++우산 | ||
====문덕수==== | ====문덕수==== | ||
- | 꽃과 언어 | ||
- | 원(圓)에 관한 소묘 | + | ++++꽃과 언어 |< |
+ | ++++원(圓)에 관한 소묘 | ||
====한무학==== | ====한무학==== | ||
- | 어차피 못 부를 바에야 | + | |
+ | ++++어차피 못 부를 바에야 | ||
====성찬경=== | ====성찬경=== | ||
- | 화형 둔주곡(火刑遁走曲) | + | |
+ | ++++화형 둔주곡(火刑遁走曲) | ||
====임강빈==== | ====임강빈==== | ||
- | 코스모스 | + | |
+ | ++++코스모스 | ||
====민재식==== | ====민재식==== | ||
- | 자화상 | + | |
+ | ++++자화상 | ||
=====인태성==== | =====인태성==== | ||
- | 시점(視點) | + | |
+ | ++++시점(視點) | ||
====박봉우==== | ====박봉우==== | ||
- | 휴전선 | + | |
+ | ++++휴전선 | ||
====신경림==== | ====신경림==== | ||
- | 이 두 개의 눈은 | ||
- | 갈대 | + | ++++이 두 개의 눈은 |< |
+ | ++++갈대 | ||
====이성환==== | ====이성환==== | ||
- | 그믐달 | + | |
+ | ++++그믐달 | ||
====김지향==== | ====김지향==== | ||
- | 승화(昇華) | ||
- | 편지 | + | ++++승화(昇華) |< |
- | + | ++++편지 | |
- | 베짱이와 잠자리 | + | ++++베짱이와 잠자리 |
====노영란==== | ====노영란==== | ||
- | 평가의 물결 속에 | + | |
+ | ++++평가의 물결 속에 | ||
====김정진==== | ====김정진==== | ||
- | 김단회(金丹姬) | + | |
+ | ++++김단회(金丹姬) | ||
====김종삼==== | ====김종삼==== | ||
- | 묵화(墨畵) | ||
- | 원두막 | + | ++++묵화(墨畵) |< |
- | + | ++++원두막 | |
- | 앙포르멜 | + | ++++앙포르멜 |
====정벽봉==== | ====정벽봉==== | ||
- | 목소리 | + | |
+ | ++++목소리 | ||
====김광림==== | ====김광림==== | ||
- | 산 | + | |
+ | ++++산 |< | ||
====이경남==== | ====이경남==== | ||
- | 강 건너 얼굴 | + | |
+ | ++++강 건너 얼굴 | ||
====이창대==== | ====이창대==== | ||
- | 애가 | + | |
+ | ++++애가 | ||
====이희철==== | ====이희철==== | ||
- | 낙엽에게 | + | |
+ | ++++낙엽에게 | ||
====신기선==== | ====신기선==== | ||
- | 역설(逆說)의 꽃 | + | |
+ | ++++역설(逆說)의 꽃 |< | ||
====박재삼==== | ====박재삼==== | ||
- | 춘향이 마음(초) | ||
- | 무제(無題) | + | ++++춘향이 마음(초) |< |
- | + | ++++무제(無題) | |
- | 섭리(攝理) | + | ++++섭리(攝理) |
- | + | ++++울음이 타는 강 |< | |
- | 울음이 타는 강 | + | |
====권일송==== | ====권일송==== |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서설(序說) | + |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서설(序說) | ||
====정공채==== | ====정공채==== | ||
- | 망향(望鄕) | ||
- | 영광 | + | ++++망향(望鄕) |< |
- | + | ++++영광|< | |
====김동사==== | ====김동사==== | ||
- | 바위의 꿈 | + | |
+ | ++++바위의 꿈 |< | ||
====장순화==== | ====장순화==== | ||
- | 유방(乳房)의 장(章) | ||
- | 고무신 | + | ++++유방(乳房)의 장(章) |< |
+ | ++++고무신 | ||
====윤혜승==== | ====윤혜승==== | ||
- | 갈릴리 호수 | ||
- | 갈보리 형틀 | + | ++++갈릴리 호수 |< |
+ | ++++갈보리 형틀 | ||
====황명==== | ====황명==== | ||
- | 분수 | + | |
+ | ++++분수 | ||
====고은==== | ====고은==== | ||
- |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 ||
- | 화살 | + |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 |
+ | ++++화살 | ||
====황동규==== | ====황동규==== | ||
- | 조그만 사랑 노래 | ||
- | 삼남(三南)에 내리는 눈 | + | ++++조그만 사랑 노래 |< |
+ | ++++삼남(三南)에 내리는 눈 |< | ||
====신동엽==== | ====신동엽==== | ||
- | 껍데기는 가라 | ||
- | 너에게 | + | ++++껍데기는 가라 |< |
+ | ++++너에게 | ||
+ | ++++아니오 |< | ||
+ | ++++강 |< | ||
+ | ++++진달래 산천 |< | ||
+ | ++++서울|< | ||
- | 아니오 | + | ====이기반==== |
- | 강 | + | ++++봄 |< |
- | + | ||
- | 진달래 산천 | + | |
- | + | ||
- | 서울 | + | |
- | + | ||
- | ====이기반==== | + | |
- | 봄 | + | |
====함혜련==== | ====함혜련==== | ||
- | 데생A | ||
- | 노래는 가슴을 뚫고 가지만 | + | ++++데생A |< |
+ | ++++노래는 가슴을 뚫고 가지만 | ||
+ | ++++시인 |< | ||
- | 시인 | + | ====이성교==== |
- | ====이성교==== | + | ++++밤비(Ⅰ) |
- | 밤비(Ⅰ) | + | ++++영혼의 하얀 눈|< |
- | 영혼의 하얀 눈 | ||
- | |||
====성춘복==== | ====성춘복==== | ||
- | 나를 떠나 보내는 강가엔 | ||
- | 밤의 낚시터 | + | ++++나를 떠나 보내는 강가엔 |< |
+ | ++++밤의 낚시터 | ||
====김영태==== | ====김영태==== | ||
- | 김수영을 추모하는 저녁 미사곡 | + | |
+ | ++++김수영을 추모하는 저녁 미사곡 | ||
====김종원==== | ====김종원==== | ||
- | 달팽이 | + | |
+ | ++++달팽이 | ||
====김재원==== | ====김재원==== | ||
- | 입만 다물면야 | + | |
+ | ++++입만 다물면야 | ||
====이유경==== | ====이유경==== | ||
- | 나목(裸木) | + | |
+ | ++++나목(裸木) | ||
====서창남==== | ====서창남==== | ||
- | 화사한 날개를 | + | |
+ | ++++화사한 날개를 | ||
====장완영==== | ====장완영==== | ||
- | 조국 | + | |
+ | ++++조국 | ||
====안장현==== | ====안장현==== | ||
- | 어느 정신병원에서 | + | |
+ | ++++어느 정신병원에서 | ||
====전규태==== | ====전규태==== | ||
- | 한계 | ||
- | 하늘(1) | + | ++++한계 |< |
+ | ++++하늘(1) | ||
====김후란==== | ====김후란==== | ||
- | 설야(雪夜) | ||
- | 포도밭에서 | + | ++++설야(雪夜) |< |
+ | ++++포도밭에서|< | ||
====전재동==== | ====전재동==== | ||
- | 도상(途上)의 부활 | + | |
+ | ++++도상(途上)의 부활 | ||
====마종기==== | ====마종기==== | ||
- | 연가 | ||
- | ====송욱==== | + | ++++연가 |< |
- | 장미 | + | |
- | 비 오는 창 | + | ====송욱==== |
- | 유혹 | + | ++++장미 |< |
+ | ++++비 오는 창 |< | ||
+ | ++++유혹 | ||
====박근영==== | ====박근영==== | ||
- | 동정(冬庭)의 시 | ||
- | 기도(Ⅱ) | + | ++++동정(冬庭)의 시 |< |
+ | ++++기도(Ⅱ) | ||
====박재릉==== | ====박재릉==== | ||
- | 서울 | + | |
+ | ++++서울 | ||
====이근배==== | ====이근배==== | ||
- | 부침(浮沈) | + | |
+ | ++++부침(浮沈) | ||
====황선하==== | ====황선하==== | ||
- | 아버지의 연가(戀歌) | + | |
+ | ++++아버지의 연가(戀歌) | ||
====황명걸==== | ====황명걸==== | ||
- | 요일 연습 | + | |
+ | ++++요일 연습 | ||
====박이도==== | ====박이도==== | ||
- | 해빙기(解氷期) | ||
- | 이 수난을 | + | ++++해빙기(解氷期) |< |
+ | ++++이 수난을 | ||
====허영자==== | ====허영자==== | ||
- | 임 | ||
- | |||
- | 백자(白瓷) | ||
- | 바위 | + | ++++임 |< |
+ | ++++백자(白瓷) |< | ||
+ | ++++바위 | ||
====신중신==== | ====신중신==== | ||
- | 내 이렇게 살다가 | ||
- | 회색 그림자 | + | ++++내 이렇게 살다가 |< |
+ | ++++회색 그림자 | ||
====이승훈==== | ====이승훈==== | ||
- | 암호 | ||
- | 당신의 방 | + | ++++암호 |< |
+ | ++++당신의 방 |< | ||
====이성부==== | ====이성부==== | ||
- | 벼 | ||
- | 봄 | + | ++++벼 |< |
+ | ++++봄 |< | ||
====진을주==== | ====진을주==== | ||
- | 포도 | + | |
+ | ++++포도 | ||
====문병란==== | ====문병란==== | ||
- | 꽃씨 | ||
- | 직녀(織女)에게 | + | ++++꽃씨 |< |
+ | ++++직녀(織女)에게 | ||
====오규원==== | ====오규원==== | ||
- | 개봉동과 장미 | + | |
- | 말 | + | ++++개봉동과 장미 |
+ | ++++말 |< | ||
====이우석==== | ====이우석==== | ||
- | 휘파람 | + | |
+ | ++++휘파람 | ||
====정현종==== | ====정현종==== | ||
- | 사랑의 꿈 | ||
- | 고통의 축제(2) | + | ++++사랑의 꿈 |< |
+ | ++++고통의 축제(2) | ||
====최하림==== | ====최하림==== | ||
- | 시(詩) | ||
- | 백설부(白雪賦)(1) | + | ++++시(詩) |< |
+ | ++++백설부(白雪賦)(1) | ||
====김용진==== | ====김용진==== | ||
- | 소네트 | + | |
+ | ++++소네트 | ||
====이탄==== | ====이탄==== | ||
- | 꽃은, 깊은 밤 홀로 | + | |
+ | ++++꽃은, 깊은 밤 홀로 | ||
====조태일==== | ====조태일==== | ||
- | 국토 서시 | ||
- | 물·바람·빛 | + | ++++국토 서시 |< |
+ | ++++물·바람·빛 | ||
====신동춘==== | ====신동춘==== | ||
- | 꽃은 제 내움에 | + | |
+ | ++++꽃은 제 내움에 | ||
====유경환==== | ====유경환==== | ||
- | 나비 | ||
- | 향아 | + | ++++나비 |< |
- | + | ++++향아|< | |
- | 묵도 | + | ++++묵도 |
====조상기==== | ====조상기==== | ||
- | 눈 오는 날 | + | |
+ | ++++눈 오는 날 |< | ||
====강우식==== | ====강우식==== | ||
- | 탈춤 고(考) | ||
- | 내 마지막 겨울은 | + | ++++탈춤 고(考) |< |
+ | ++++내 마지막 겨울은 | ||
====박제천==== | ====박제천==== | ||
- | 지상 | ||
- | 미수(眉수) | + | ++++지상 |< |
+ | ++++미수(眉수) | ||
====윤삼하==== | ====윤삼하==== | ||
- | 허상(虛像) | ||
- | 별명 | + | ++++허상(虛像) |< |
+ | ++++별명 | ||
====류안진==== | ====류안진==== | ||
- | 서리꽃 | ||
- | |||
- | 꽃 지는 날에 | ||
- | |||
- | 내 가슴을 말구유로 | ||
- | |||
- | 위대한 유산 | ||
- | 청년 그리스도께 | + | ++++서리꽃 |< |
+ | ++++꽃 지는 날에 |< | ||
+ | ++++내 가슴을 말구유로 |< | ||
+ | ++++위대한 유산 |< | ||
+ | ++++청년 그리스도께 | ||
====오병수==== | ====오병수==== | ||
- | 절규하는 크리스마스 | ||
- | 고와(古瓦)(Ⅲ) | + | ++++절규하는 크리스마스 |< |
+ | ++++고와(古瓦)(Ⅲ) | ||
====조남기==== | ====조남기==== | ||
- | 침묵 | ||
- | 고도(孤島)밧모에서 | + | ++++침묵 |< |
+ | ++++고도(孤島)밧모에서 | ||
====천양희==== | ====천양희==== | ||
- | 몽산포 | ||
- | 어떤 하루 | + | ++++몽산포 |< |
+ | ++++어떤 하루 | ||
====오세영==== | ====오세영==== | ||
- | 열매 | ||
- | 꽃불 | + | ++++열매 |< |
+ | ++++꽃불 | ||
====김종길==== | ====김종길==== | ||
- | 설날 아침에 | ||
- | 춘니(春泥) | + | ++++설날 아침에 |< |
- | + | ++++춘니(春泥) | |
- | 성탄제 | + | ++++성탄제 |
====김양식==== | ====김양식==== | ||
- | 조춘(早春) | + | |
+ | ++++조춘(早春) | ||
====문익환==== | ====문익환==== | ||
- | 모세의 죽음 | + | |
- | + | ++++모세의 죽음|< | |
=====70년대 이후의 풍토===== | =====70년대 이후의 풍토===== | ||
====강은교==== | ====강은교==== | ||
- | 우리가 물이 되어 | ||
- | 그대의 들 | + | ++++우리가 물이 되어 |< |
+ | ++++그대의 들 |< | ||
====김지하==== | ====김지하==== | ||
- | 타는 목마름으로 | + | |
+ | ++++타는 목마름으로 | ||
====김준태==== | ====김준태==== | ||
- | 불이냐 꽃이냐 | ||
- | 감꽃 | + | ++++불이냐 꽃이냐 |< |
+ | ++++감꽃 | ||
====이시영==== | ====이시영==== | ||
- | 나의 노래 | ||
- | 무늬 | + | ++++나의 노래 |< |
+ | ++++무늬 | ||
====이성선==== | ====이성선==== | ||
- | 달을 먹은 소 | ||
- | 큰 노래 | + | ++++달을 먹은 소|< |
+ | ++++큰 노래 | ||
====양성우==== | ====양성우==== | ||
- | 우수(雨水) | ||
- | 요한의 노래 | + | ++++우수(雨水) |< |
+ | ++++요한의 노래 | ||
====정희성==== | ====정희성==== | ||
- | 길 | ||
- | 이곳에 살기 위하여 | + | ++++길 |< |
+ | ++++이곳에 살기 위하여 | ||
====조정권==== | ====조정권==== | ||
- |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 | ||
- | 독락당(獨樂堂) | + |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 |< |
+ | ++++독락당(獨樂堂) | ||
====이하석==== | ====이하석==== | ||
- | 분홍강 | + | |
+ | ++++분홍강 | ||
====김창범==== | ====김창범==== | ||
- | 스데반의 돌무더기 | + | |
+ | ++++스데반의 돌무더기 | ||
====김명인==== | ====김명인==== | ||
- | 칼새의 방 | ||
- | 소금바다로 가자 | + | ++++칼새의 방 |< |
+ | ++++소금바다로 가자 | ||
====정호승==== | ====정호승==== | ||
- | 슬픔으로 가는 길 | ||
- | 서울의 예수 | + | ++++슬픔으로 가는 길 |< |
+ | ++++서울의 예수 | ||
====김남주==== | ====김남주==== | ||
- | 나의 칼 나의 피 | + | |
+ | ++++나의 칼 나의 피 |< | ||
====문성원==== | ====문성원==== | ||
- | 아가페 고백 | + | |
+ | ++++아가페 고백 | ||
====송수권==== | ====송수권==== | ||
- | 산문(山門)에 기대어 | + | |
+ | ++++산문(山門)에 기대어 | ||
====김광규==== | ====김광규==== | ||
- | 영산(靈山) | ||
- | 어린 게의 죽음 | + | ++++영산(靈山) |< |
+ | ++++어린 게의 죽음 | ||
====고정희==== | ====고정희==== | ||
- | 야훼님 전 상서 | ||
- | 화육제 별사(化肉祭別詞) | + | ++++야훼님 전 상서 |< |
+ | ++++화육제 별사(化肉祭別詞) | ||
====김상형==== | ====김상형==== | ||
- | 십자가 앞에서 | + | |
+ | ++++십자가 앞에서 | ||
====김태규==== | ====김태규==== | ||
- | 구름 | + | |
+ | ++++구름 | ||
====김시백==== | ====김시백==== | ||
- | 야간 열차 | + | |
+ | ++++야간 열차 | ||
====오동춘==== | ====오동춘==== | ||
- | 산 | + | |
+ | ++++산 |< | ||
====최규창==== | ====최규창==== | ||
- | 오늘의 기도 | + | |
+ | ++++오늘의 기도 | ||
====이해인==== | ====이해인==== | ||
- | 다른 옷은 입을 수가 없네 | ||
- | 선인장의 고백 | + | ++++다른 옷은 입을 수가 없네 |< |
- | + | ++++선인장의 고백 | |
- | 섬에서 | + | ++++섬에서 |
- | + | ++++수평선을 바라보며 | |
- | 수평선을 바라보며 | + | |
====마광수==== | ====마광수==== | ||
- | 사랑도 권태 | ||
- | |||
- | 장자 사(壯子死) | ||
- | |||
- | 사랑이여 | ||
- | 사랑 | + | ++++사랑도 권태 |< |
+ | ++++장자 사(壯子死) |< | ||
+ | ++++사랑이여 |< | ||
+ | ++++사랑 |< | ||
====이성복==== | ====이성복==== | ||
- | 그 여름의 끝 | ||
- | 그날 | + | ++++그 여름의 끝 |< |
+ | ++++그날 | ||
====최승호==== | ====최승호==== | ||
- | 북어(北魚) | ||
- | 공장지대 | + | ++++북어(北魚) |< |
+ | ++++공장지대 | ||
====최승자==== | ====최승자==== | ||
- | 누군지 모를 너를 위하여 | + | |
+ | ++++누군지 모를 너를 위하여 | ||
====황지우==== | ====황지우==== | ||
- | 초로(草露)와 같이 | ||
-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 | ++++초로(草露)와 같이 |< |
+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 ||
====김정환==== | ====김정환==== | ||
- | 서시(序詩) | ||
- | |||
- | 탄생의 서 | ||
- | 세례 요한의 말 | + | ++++서시(序詩) |< |
+ | ++++탄생의 서 |< | ||
+ | ++++세례 요한의 말 |< | ||
====이사라==== | ====이사라==== | ||
- | 제물의 시대 | ||
- | 겨울에는 강이 길어진다 | + | ++++제물의 시대 |< |
+ | ++++겨울에는 강이 길어진다 | ||
====김용택==== | ====김용택==== | ||
- | 섬진강·15 | ||
- | 사랑 | + | ++++섬진강·15 |< |
+ | ++++사랑 | ||
====양애경==== | ====양애경==== | ||
- | 희망 | ||
- | 장사를 하며 | + | ++++희망 |< |
+ | ++++장사를 하며 | ||
====박노해==== | ====박노해==== | ||
- | 그해 겨울나무 | ||
- | 강철 새잎 | + | ++++그해 겨울나무 |< |
+ | ++++강철 새잎 | ||
====기형도==== | ====기형도==== | ||
- | 물 속의 사막 | + | |
+ | ++++물 속의 사막 | ||
====서정학==== | ====서정학==== | ||
- | 등(1) | + | |
+ | ++++등(1) | ||
====정진흥==== | ====정진흥==== | ||
- | 문이 열리면 | ||
- | 신화(1) | + | ++++문이 열리면 |< |
+ | ++++신화(1) | ||
====김종기==== | ====김종기==== | ||
- | 남강(南江) | + | |
- | + | ++++남강(南江)|<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