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프로그램:java:syntax [2022/01/01 00:15] clayeryan@gmail.com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주의할 것들] |
프로그램:java:syntax [2025/06/27 16:02] (현재) |
||
|---|---|---|---|
| 줄 133: | 줄 133: | ||
| 파일은 빈 줄이나 다른 구역임을 나타내주는 주석으로 나누어지는 여러 구역(section)들로 구성되어 있다.\\ | 파일은 빈 줄이나 다른 구역임을 나타내주는 주석으로 나누어지는 여러 구역(section)들로 구성되어 있다.\\ | ||
| 2,000 라인을 넘는 파일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피해야 한다.\\ | 2,000 라인을 넘는 파일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피해야 한다.\\ | ||
| - | 적절하게 구성된 자바 프로그램의 예제는 아래 | + | 적절하게 구성된 자바 프로그램의 예제는 아래 |
| === 자바 소스 파일 === | === 자바 소스 파일 === | ||
| 줄 175: | 줄 175: | ||
| ^순서^클래스/ | ^순서^클래스/ | ||
| - | |1|문서화 주석|(/ | + | |1|문서화 주석|(/ |
| |2|클래스/ | |2|클래스/ | ||
| |3|구현 주석|(/* ... */) 이 주석은 클래스/ | |3|구현 주석|(/* ... */) 이 주석은 클래스/ | ||
| 줄 284: | 줄 284: | ||
| *문서화 주석 | *문서화 주석 | ||
| - | 구현 주석은 /* ... */ 과 < | + | 구현 주석은 /* ... */ 과 < |
| 문서화 주석은 단지 자바에서만 사용되며, | 문서화 주석은 단지 자바에서만 사용되며, | ||
| 줄 299: | 줄 299: | ||
|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4가지 형식의 구현 주석을 포함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4가지 형식의 구현 주석을 포함할 수 있다. | ||
| - | - **블록(Block) 주석** | + | - 블록(Block) 주석 |
| - | - ** 한 줄(Single-Line) 주석** | + | - 한 줄(Single-Line) 주석 |
| - | - **꼬리(Trailing) 주석** | + | - 꼬리(Trailing) 주석 |
| - | - **줄 끝(End-Of-Line) 주석** | + | - 줄 끝(End-Of-Line) 주석 |
| ==블록(Block) 주석== | ==블록(Block) 주석== | ||
| 줄 370: | 줄 370: | ||
| </ | </ | ||
| === 문서화(Documentation) 주석 === | === 문서화(Documentation) 주석 === | ||
| - | * 여기에 나오는 주석들은 아래 | + | * 여기에 나오는 주석들은 아래 |
| 문서화 주석은 다음 5가지를 설명한다. | 문서화 주석은 다음 5가지를 설명한다. | ||
| 줄 804: | 줄 804: | ||
| 실행시 성능 향상을 위해서 할당문(assignment statement)안에 또 다른 할당문을 사용하지 말자 | 실행시 성능 향상을 위해서 할당문(assignment statement)안에 또 다른 할당문을 사용하지 말자 | ||
| + | |||
| <code java> | <code java> | ||
| // 이렇게 사용하지 말자 | // 이렇게 사용하지 말자 | ||
| d = (a = b + c) + r; | d = (a = b + c) + r; | ||
| - | </ | + | |
| //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 //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 ||
| a = b + c; | a = b + c; | ||
| d = a + r; | d = a + r; | ||
| + | </ | ||
| === 그 외 신경써야 할 것들 === | === 그 외 신경써야 할 것들 === | ||
| == 괄호 == | == 괄호 == | ||
| + | 연산자 우선순위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복합 연산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괄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생각이다(작성자는 연산자 우선 순위를 확실하게 알고 있다고 할지라도, | ||
| + | |||
| + | <code java> | ||
| + | if (a == b && c == d) // 이렇게 사용하지 말자 | ||
| + | if ((a == b) && (c == d)) // 이렇게 사용하자 | ||
| + | </ | ||
| == 반환 값 == | == 반환 값 == | ||
| + | |||
| + | 프로그램의 구조와 목적이 일치해야 한다. | ||
| + | |||
| + | <code java> | ||
| + | // 이렇게 사용하지 말자 | ||
| + | if (booleanExpression) { | ||
| + | return true; | ||
| + | } else { | ||
| + | return false; | ||
| + | } | ||
| + | </ | ||
| + | |||
| + | <code java> | ||
| + | //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 ||
| + | return booleanExpression; | ||
| + | // 이렇게 사용하지 말자 | ||
| + | if (condition) { | ||
| + | return x; | ||
| + | } | ||
| + | return y; | ||
| + | </ | ||
| + | |||
| + | <code java> | ||
| + | //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 ||
| + | return (condition ? x : y); | ||
| + | </ | ||
| == 조건 연산자 '?' | == 조건 연산자 '?' | ||
|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 - ?:) 에서 ? 이전에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를 포함하는 식(expression)이 있는 경우에는, | 삼항 연산자(ternary operator - ?:) 에서 ? 이전에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를 포함하는 식(expression)이 있는 경우에는, | ||
| + | |||
| < | < | ||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