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e.k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어학:한글:맞춤법사전 [2021/03/09 00:43]
clayeryan@gmail.com
어학:한글:맞춤법사전 [2023/09/20 18:35] (현재)
clayeryan@gmail.com ↷ 문서가 문학:국문학:맞춤법사전에서 어학:한글:맞춤법사전(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줄 2: 줄 2:
  
 [[http://164.125.7.61/speller/| 온라인 맞춤법 검사기]] [[http://164.125.7.61/speller/| 온라인 맞춤법 검사기]]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060&mn_id=30|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기]] 
- 
-  *웬과 왠 : 웬 - '웬일', '웬만하다.' 그 외에는 띄워서 명사 앞에 붙는다. 예 : '웬 떡이냐?', '웬 날벼락' / 왠지 - 왜인지의 줄임말로 무조건 '지'가 붙는다. '웬지 = 웨인지 X' 
-  *께요와 게요 : 주로 '게요'가 옳은 말이다. 께요는 OO께 이외에는 문장의 끝에 들어가지 않는다. '할께요. X' -> '할게요. O' / '당신께 O' 
-  *구요와 고요 : 구어체에서 '구요'를 쓸 수는 있으나 이는 경기방언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사투리 같아서 조금 우습게 들릴 지 모르지만, 작문에서는 '고요'가 문법상 맞는 말이다. 
  
 +[[https://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060&mn_id=30|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규정]]
  
 +  ***웬-왠** : 웬 - '웬일', '웬만하다.' 그 외에는 띄워서 명사 앞에 붙는다. 예 : '웬 떡이냐?', '웬 날벼락' / 왠지 - 왜인지의 줄임말로 무조건 '지'가 붙는다. '웬지 = 웨인지 X'
 +  ***께요-게요** : 주로 '게요'가 옳은 말이다. 께요는 OO께 이외에는 문장의 끝에 들어가지 않는다. '할께요. X' -> '할게요. O' / '당신께 O'
 +  ***구요-고요** : 구어체에서 '구요'를 쓸 수는 있으나 이는 경기방언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사투리 같아서 조금 우습게 들릴 지 모르지만, 작문에서는 '고요'가 문법상 맞는 말이다.
 +  ***틈틈이-틈틈히** : '틈틈히'가 틀린 말이다. '틈틈이'에는 틈이라는 명사가 반복되어져서 만들어진 말이기에 조사 '이'가 붙는다. '히'가 붙는 경우는 '-하다'의 줄임말이 될 수 있는 경우에만 붙는다. 고요하다 - '고요히', 특별하다 - '특히'
 +  ***뒤쳐지다와 뒤처지다** : '뒤쳐지다'는 '뒤집어 젖혀지다'의 줄임말로, 보통 일반적으로 '뒤에 처지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뒤처지다'가 맞다.
 +  ***어쨌든-어쨋든** : '어쨌든' 어찌했든의 줄임말이기에 '어쨋든'은 틀린 말이다. 비슷한 예로, '그랬든 = 그러했든'이 있다.
 +  ***든-던** : '든'은 과거, '던'은 선택으로 '그랬든', '그랬거든', '하던지 말던지'와 같은 예시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