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문학:국문학:고전시 [2022/11/16 16:35] clayeryan@gmail.com [연시조] |
문학:국문학:고전시 [2025/06/27 16:02] (현재) |
||
|---|---|---|---|
| 줄 425: | 줄 425: | ||
| ====여류의 시조==== | ====여류의 시조==== | ||
| + | |||
| + | - 唐虞를 어제 본 듯 / 소춘풍(笑春風) | ||
| + | - 前言은 희之耳라 / 소춘풍(笑春風) | ||
| + | - 齊도 대국이요 / 소춘풍(笑春風) | ||
| + | - 靑山蔞 碧溪水야 / 황진이(黃眞伊) | ||
| + | - 冬至 ㅅ 달 기나긴 바믈 / 황진이(黃眞伊) | ||
| + | - 靑山은 내 뜻이요 / 황진이(黃眞伊) | ||
| + | - 산은 옛 산이로되 / 황진이(黃眞伊) | ||
| + | - 어져 내 일이여 / 황진이(黃眞伊) | ||
| + | - 내 언제 信이 업서 / 황진이(黃眞伊) | ||
| + | - 압 못세 든 고기들아 / 궁녀(宮女) | ||
| + | - 梨花雨 흣뿌릴 제 / 계향(桂香) | ||
| + | - 묏버들 갈해 것거 / 홍랑(洪娘) | ||
| + | - 어이 얼어 자리 / 한우(寒雨) | ||
| + | - 오냐 말 아니따나 / 문향(文香) | ||
| + | - 相公을 뵈온 후에 / 소백주(小栢舟) | ||
| + | - 梅花 ? 등걸에 / 매화(梅花) | ||
| + | - 야심 오경토록 / 매화(梅花) | ||
| + | - 꿈에 뵈는 님이 / 명옥(明玉) | ||
| + | - 솔이 솔이라 하니 / 송이(松伊) | ||
| + | - 山村에 밤이 드니 / 천금(千錦) | ||
| + | - 장송으로 배를 무어 / 구지(求之) | ||
| + | - 북두성 기울어지고 / 다복(多福) | ||
| + | - 鐵이 鐵이라거늘 / 철이(鐵伊) | ||
| + | - 한양서 떠온 나비 / 송대춘(松臺春) | ||
| + | - 寒松亭 달 밝은 밤에 / 홍장(紅粧) | ||
| + | - 嘲藥泉南相公(조약천남상공) / 柳氏(유씨) | ||
| + | - 別權判書尙愼(별권판서상신) / 義州妓(의주기) | ||
| + | - 養蠶人(양잠인) / 蠶婦(잠부) | ||
| + | - 離恨(이한) / 張女史(장여사) | ||
| + | - 怨詞(원사) / 全州妓(전주기) | ||
| + | - 江村春景(강촌춘경) / 竹香(죽향) | ||
| + | - 烏(오) / 眞玉(진옥) | ||
| + | - 蒼岩亭(창암정) / 秋香(추향) | ||
| + | - 恨(한) / 翠蓮(취련) | ||
| + | - 賞月(상월) / 翠蓮(취련) | ||
| + | - 奉呈徐公(봉정서공) / 翠蓮(취련) | ||
| + | - 白馬江(백마강) / 翠仙(취선) | ||
| + | - 四絶亭(사절정) / 太一(태일) | ||
| + | - 除夕(제석) / 平壤妓(평양기) | ||
| + | - 秋雨(추우) / 慧定(혜정) | ||
| ====작자 미상==== | ====작자 미상==== | ||
| 줄 644: | 줄 685: | ||
| ====김삿갓의 시==== | ====김삿갓의 시==== | ||
| - | | + | |
| - | - 二十樹下(이십수하) | + | |
| - | - 無題 (무제) | + | - 二十樹下(이십수하) |
| - | - 逐客詩(축객시) | + | - 無題 (무제) |
| - | - 覓字韻(멱자운) | + | - 逐客詩(축객시) |
| - | - 還甲宴(환갑연) | + | - 覓字韻(멱자운) |
| - | - 贈還甲宴(증환갑연) | + | - 還甲宴(환갑연) |
| - | - 可憐妓(가련기) | + | - 贈還甲宴(증환갑연) |
| - | - 金剛山(금강산) | + | - 可憐妓(가련기) |
| - | - 金剛山景(금강산경) | + | - 金剛山(금강산) |
| - | - 入金剛(입금강) | + | - 金剛山景(금강산경) |
| - | - 答僧金剛山(답승금강산) | + | - 入金剛(입금강) |
| - | - 金剛山詩(금강산시) | + | - 答僧金剛山(답승금강산) |
| - | - 夏雲多奇峰(하운다기봉) | + | - 金剛山詩(금강산시) |
| - | - 山水詩(산수시) | + | - 夏雲多奇峰(하운다기봉) |
| - | - 金剛山問答詩(금강산문답시) | + | - 山水詩(산수시) |
| - | - 竹詩(죽시) | + | - 金剛山問答詩(금강산문답시) |
| - | - 九月山(구월산) | + | - 竹詩(죽시) |
| - | - 浮碧樓(부벽루) | + | - 九月山(구월산) |
| - | - 元生員(원생원) | + | - 浮碧樓(부벽루) |
| - | - 乞人屍(걸인시) | + | - 元生員(원생원) |
| - | - 難避花(난피화) | + | - 乞人屍(걸인시) |
| - | - 是是非非(시시비비) | + | - 難避花(난피화) |
| - | - 風俗薄(풍속박) | + | - 是是非非(시시비비) |
| - | - 雪 (설) = 555 | + | - 風俗薄(풍속박) |
| - | - 嘲幼冠者(조유관자) | + | - 雪 (설) |
| - | - 破字詩(파자시) | + | - 嘲幼冠者(조유관자) |
| - | - 艱飮野店(간음야점) | + | - 破字詩(파자시) |
| - | - 平壤妓生(평양기생) | + | - 艱飮野店(간음야점) |
| - | - 扶餘妓生(부여기생) | + | - 平壤妓生(평양기생) |
| - | - 嘲年長冠者(조년장관자) | + | - 扶餘妓生(부여기생) |
| - | - 辱尹哥村(욕윤가촌) | + | - 嘲年長冠者(조년장관자) |
| - | - 李氏之三女(이씨지삼녀) | + | - 辱尹哥村(욕윤가촌) |
| - | - 妙香山(묘향산) | + | - 李氏之三女(이씨지삼녀) |
| - | - 賞景(상경) | + | - 妙香山(묘향산) |
| - | - 看山(간산) | + | - 賞景(상경) |
| - | - 自傷(자상) | + | - 看山(간산) |
| - | - 昶笠(영립) | + | - 自傷(자상) |
| - | - 自嘆(자탄) | + | - 昶笠(영립) |
| - | - 蘭皐平生詩(난고평생시) | + | - 自嘆(자탄) |
| + | - 蘭皐平生詩(난고평생시) | ||
| ====서사시==== | ====서사시==== | ||
| - | - 帝王韻紀(제왕운기) / 李承休(이승휴) | + | - 帝王韻紀(제왕운기) / 李承休(이승휴) |
| - | - 東明王篇(동명왕편) / 李奎報(이규보) | + | - 東明王篇(동명왕편) / 李奎報(이규보) |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위키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