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e.kr

생초보 음악이론

원본 포스트 : http://naver.me/G0OWUzYI

댓글,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다면 저 링크 된 포스트 하단 아래에 달아주세요.

서론

주저리

악보 -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저는 저 속담의 뜻이 참 오묘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아무리 좋은 지식, 좋은 것들을 많이 가지고 있어도 체계가 없다면, 하나로 연결해서 내 것으로 만들어내지 못하면 아무 쓸모가 없다는 말이니까요.

그래서 악보를 정의하는 데 딱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악보의 모양새 자체가 구슬이 실에 꿰어져 있는 형태잖아요. 아니 그냥 빨랫줄에 걸린 콩나물인데

바로바로 꺼내서 쓸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려면 정리가 잘 되어 있어야 하죠. 그 정리를 하려면 체계가 잘 잡혀 있어야만 합니다.

지난 시간 넋두리가 길었습니다만, 본 강좌를 만드는 목적이 있다면. 그것은 “노래하듯 악기를 다룰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위한 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노래라고 하는 것은 “말”과 같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라고 하는 것은, 소리로 표현되는 “말”의 기록으로 표현되는 “문자”가 있겠습니다. 세종대왕이 진정 위대한 왕인 것은, 말로만 존재하던 한글을 문자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한글을 창제했다는 점에 있겠습니다. 제가 어릴 때 살았던 이태원에서는 영어로 대화는 무척 잘 하시지만, 영어를 읽지 못하는 분들이 참 많이 계셨습니다. 말을 아무리 잘하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읽고 쓰지 못한다면, 문맹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 문명앞에 뒤쳐질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음악도 똑같습니다. 흑인들이 피지컬적으로는 정말 악기도 잘 다루고 노래도 더 잘하는데 정규교육을 받질 못해서 악보를 볼 줄 모르다보니, 백인들의 음악에 지배를 받을 수밖에 없었고 더 발전된 음악을 하기가 힘들었죠.

잔소리는 여기까지 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잔소리라고는 하지만, 이렇게까지 강조하는 것은 저 역시 레슨을 받고, 음대를 나오고 하는 정규교육은 거의 받아보질 못했지만. 그래서 더 독하게 공부해서 저만의 방법들을 만들어 냈던 과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뼈대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인데, 결국 그것은 악보를 볼 줄 알고 그것의 이론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이해해야만 한다는 말이 하고 싶었던 것이지요.

문자가 결국 기호라고 하는 하나의 약속인 것처럼, 악보라고 하는 것도 똑같습니다. 그 기호에 대한 약속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저 외계어, 상형문자일 뿐인 것이지요.

자, 이제 거두절미하고(이제사 ;;;) 본격적으로 '악보'라고 하는 음악을 표기하는 문자 기호, 약속 체계…. 아 몰랑 외계어의 세계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악보라고 부르는 이 것. 빨래줄이라고도 하고 오선보라고 하는 다섯 개의 줄. 처음 악보를 보면서(아니, 지금도 가끔?;;;) 왜 우리는 늘 이 칸을 세고 있어야만 했던 것일까요? ㅜㅠ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들어갑니다.

아래에 저렇게 덩그러니 놓여진 마치 바둑판의 흰돌, 검은돌처럼 놓여진 저 악보의 음은 무엇일까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들어갑니다.

아래에 저렇게 덩그러니 놓여진 마치 바둑판의 흰돌, 검은돌처럼 놓여진 저 악보의 음은 무엇일까요?

방금 레 도 라고 유식한 척 정답을 떠올리셨던 분들은, '땡!!!!'

왜, 레와 도가 아니냐구요?

차이점을 아시겠습니까? 네, 왼쪽에 있는 '높은음자리표' 라고 하는 것. 음의 높낮이에 대한 이러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만약 왼쪽에 '낮은음자리표'라고 하는 것이 오게 되면 전혀 다른 음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틀렸다고 한 것입니다. (괜히 맨 왼쪽 시작점에 저런 것을 그리는 게 아니란 말입니다!!!! 멋드러진 장식이 아니라는)

악보의 모든 종류를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에구 힘들어 ㅠㅠ (참고 : https://www.blanksheetmusic.net/ Blank Sheet 악보를 쉽게 만들고 출력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사이트)

친절하게 설명 들어가겠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조용히 스킵!!!)

일단, 음악을 혼자 공부하면서 (음악만이 아닌 모든 종류의 학문을 독학하면서), 저는 학교에서 잘못 배우거나 형식적으로 배우느라 잘못 배웠던 지식들, 고정관념과 싸워야만 했습니다. 잘못 배우거나 가르쳐주지 않았기 때문에 어렵다고 단정지어 버렸던 것들이 너무 많았던 것이죠. 제가 이렇게 입 아프게 강조하고 잔소리를 길게 쓰는 이유도 그러한 고정관념을 쫌 깨보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어쩌다보니 악기를 가르치고 음악을 가르치는 자리에 서서 학생들을 대하다보면 쉽게 가르쳐주고 싶은데, 너무 어렵게 가르쳐주거나 아예 가르쳐주지 않아서 스스로 깨우쳐야 하는 것들이 너무 많았으니까요. (또 말이 하염없이 길어지기 전에) 자르고!!

1. 오선보는 그냥 줄이 다섯개니까 오선지, 오선보라고 하는 것입니다. 악보라는 것을 그리기 위해 미리 칸을 만들어 놓은 것 뿐이라는 것이지요. 정확하게 말하자면 오선지 자체가 악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빈 칸일 뿐, 그래서 영어로는 Blank Sheet 라고 하는 겁니다.

2. 타브악보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기타를 위한 악보인 것이지요. 기타의 선이 6개이고 플랫의 칸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6개의 선에 음표 대신 손가락을 짚는 선의 위치에 지판의 플랫 숫자를 적어서 악보로 씁니다. 아래 그림 참조 타브악보를 보고 오선지 음표처럼 연주하면 안됩니다. 기타의 줄이 4, 5, 6, 7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타브악보의 줄이 더 늘거나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real_guitar/220598716727 참고

보셨다시피 악기에 따라서 악보라고 하는 것은 충분히 융통성을 가지고 만들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기타빼고는 모두 오선보를 공통으로 삼는다는 것은 함정 오선보에서 사용하는 악기 또는 목소리의 음역대에 따라서 “음자리표”를 써서 기준점을 달리 표기해 줍니다. 그 기준점이 바로 “음자리표” 잠자리표 아님 ;;;;

3. 높은음자리표 - 드디어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보셨던 “가장 일반적인 악보의 형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이 절대적인 악보의 형태가 아니라는 것을. 저처럼 어릴 때 학교에서 리코더 따위를 배우며 도레미파솔라시도를 세며 악보란 이것만 배운다고 끝났던 ;;; 피아노학원 가서 돈내고 배워 그러다가 교회에서 찬송가 악보를 보면서 테너, 베이스를 해야하는데 무슨 음을 부르고 있는지 도통 알 수가 없었던… (중략) 그것입니다.

그러니, 낮은음자리표니 가온음자리표니 알토, 테너음자리표 앞에서는 그냥 악보를 던져버리고 말았던 것이지요. 어머니!! 왜 저를 피아노학원에 아니 보내주셨나요;;;;

이제 배고프고 피곤해서 책 스캔한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자료출처 : 실용음악이론 (성음미디어) 25p 그렇다고 성의없이 다른 어디에서도 볼 수 있는 음악이론책으로 때우지 않고

거창하게 기보법 I 강 이라고 적었던 것은 상콤하게 무시해 주시고, 낯뜨거움 예전에 어린 학생들에게 오카리나를 가르치면서 만들어 보았던 자료가 정리하다보니 나와서 스캔떠서 올립니다. ^^;;; 유치함은 감안해 주십사~

핵심은 악보를 적을 때 1.음자리표 2.조표 3.박자표 의 순서 대로 적는다는 것.

높은음자리표는 영어 알파벳 필기체 G 의 모양에서 따왔다는 것. 따라서 높은음자리표에서 솔(G)음의 위치가 되는 선에서부터 그리기의 시작점을 잡고, 끝나는 지점이 '으뜸음 - 도'의 위치라는 것. 낮음음자리표 또한 알파벳 필기체 F 의 모양에서 따온 것인만큼, 낮은음자리표에서 파(F)음의 위치에서부터 점을 찍어 그리고 끝나는 지점이 역시 으뜸음 - 도 라는 것.

도의 위치를 까만 색으로 표기했으니 그림을 열심히 들여다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높은음자리표에서 줄에 위치한 음은 미술시러파 , 줄에 위치하지 않은 음은 팔아도미 , 식으로 적어본 것은 즐겁게? 썰렁하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함이니. 참고하시고~ 마찬가지로 오선보밖의 위에 위치하는 음계는 아래부터 나도미술 , 오선보밖의 아래로 위치하는 음계는 돌아봐래 , 식으로 외우는 건 당신의 방식대로!!!

그밖에 가온음자리표 - 알토, 테너 음자리표 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름과는 달리 알토, 테너와 같은 성악에서는 쓰지 않는다는 것이 함정 주로 비올라의 악보에서 많이 사용하며, 그밖에 악기의 음계를 연주하기에 편의상 가운데를 기준음으로 삼아 그리는 경우에 쓴다는 것. 비올라 할 거 아니면 몰라도 됨

음자리표를 쓰는 이유에 대한 요점을 정리하자면, 높은음자리표는 이름으로 헷갈릴 수 있지만, 가온음 도(기준이 되는 음)를 밑에서부터 그리게 함으로써 높은 음을 그리기 편하게 만들었다는 것. (글씨를 쓸 때 오른쪽에 빈 공간이 있어야 쓸 수 있는 것처럼) 낮은음자리표 역시 마찬가지로 가온도가 위에 있으니까, 아래로 더 많이 음을 그릴 수 있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길고 길었던(서론의 잔소리만 빼도 ㅡㅡ;;;) 첫번째 강의? 수업? 은 여기까지. 그럼 다음 시간에~

5도권과 조성

음이름표

조표와 음계일람표

샾이 늘어나는 순서대로

5도권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진행이다. (5도)
현악기 줄을 조율하는 음계와 겹치는데(바이올린 : GDAE, 비올라 : CGDA 철로 : EADG, 기타 : EADGBE) 그만큼 현악기는 샾이 붙는 조를 연주하기에 유리하다)

C(0) - G(#1) - D(#2) - A(#3) - E(#4) - B(#5) - F#(#6) - C#(#7)

조(시작음). 샾의 개수 샾이 붙는 음
G 1
D 2 파도
A 3 파도솔
E 4 파도솔레
B 5 파도솔레라
F# 6 파도솔레라미
C# 7 파도솔레라미시

플랫이 늘어나는 순서대로

5도권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진행이다. (4도)
관악기의 시작음( 소프라노 색소폰 - 클라리넷 : Bb, 알토 색소폰 : Eb)과 겹치는데 그만큼 관악기 주자는 5도권을 완전하게 익혀서 조바꿈에 능통해질 필요가 있다,

C(0) - F(b1) - Bb(b2) - Eb(b3) - Ab(b4) - Db(b5) - Gb(b6) - Cb=B(b7)

조(시작음). 샾의 개수 샾이 붙는 음
F 1
Bb 2 시미
Eb 3 시미라
Ab 4 시미라레
Db 5 시미라레솔
Gb 6 시미라레솔도
Cb = B 7 시미라레솔도파

음계 순서대로

5도권